-
-
세계사를 뒤바꾼 가짜뉴스 - 거짓으로 대중을 현혹시킨 36가지 이야기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장하나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2월
평점 :
얼마 전 읽은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를 떠올리게 하는 책이었다. 매일경제신문사의 신간 '세계사를 뒤바꾼 가짜뉴스'는 그보다 점잖은 제목으로 다가온다. 어려서부터 신문은 각기 다른 성향을 가진 것으로 하나씩 두 부를 읽어야 균형잡힌 시각을 가지게 된다고 배웠다. 뉴스는 얼핏 공정하게 소식을 전하는 것 같지만 사실 그 뒤에는 뉴스를 작성하는 사람과 이해관계가 존재한다. 뉴스는 대중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생각도 움직일 수 있다. 가짜뉴스가 오래도록 이용되어 온 이유도 이를 위해서 였을 것이다. 세계사에서 어떤 가짜뉴스들이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책을 통해 알아보고 싶었다.
책의 소개부터 나치 프로파간다의 수장인 괴벨스의 이야기가 나올 것이라 생각해서 궁금했는데, 간결하게 소개되어 있는 내용이 다소 짧아 아쉬웠다.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보니 각 역사적 사건들이 아주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읽기에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의 선을 지키고 있기 때문에 역사내용이고, 잘 알려진 유명한 사건들이 등장한다는 점에도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는 호흡이지만 다소 얕고 짧게 느껴지는 깊이감이 아쉽기도 했다.
책의 내용 중에서는 셔츠의 색으로 이미지를 심어주려고 헸던 무솔리니(233)의 검은 셔츠나, 나폴레옹을 위해 다비드가 그린 그림처럼 눈으로 보이는 것들에 대중이 영향을 받는 것까지 치밀한 밑바탕이 되는 사례들이 인상적이었다. 최근에 디즈니 랜드에서 나뭇잎에 미키마우스 모양을 내어 구멍을 뚫은 것을 보고 한국 네티즌들이 기묘사화를 떠올려 웃은 일이 있다. 이처럼 세계의 다양한 사례가 우리나라의 역사에서도 비슷한 결을 보이는 사례를 떠올리며 읽으면 더 재미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인상적이었던 것은, 가짜뉴스에 관련된 문장은 아니지만 그리스의 쇠퇴를 두고 폴리비오스가 남긴 말(64)이다. 이 챕터를 끝마치며 '현재의 우리와 닮은' 것 같다던 저자의 끝맺음도 그렇지만 확실히 먼 그리스 시대의 폴리비오스의 말은 요즘의 저출생 현상과 비슷한 점이 있다. 오래도록 도시의 흥망이 반복되어 오는 흐름속에 있는걸까,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빠르게 고령화, 출생감소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한국의 현 상황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었다.
메인으로 나온 역사 이야기 뿐 아니라 에피소드에서 소개되는 일화들도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이야기이다. 에피소드 중 여성 인물인 잔 다르크나 마리 앙투아네트는 영화와 매체에서도 많이 다루는 내용으로 다양한 해석을 접했기 때문에 책의 내용도 익숙했다. 이들과 함께 클레오파트라(70)가 미인으로 알려지게 된 이유도 여성이라는 점 때문에 본질보다 더 낮은 방향으로 평가되는 일이 공통적으로 있었던 것 같다고 생각됐다.
지금도 가짜뉴스를 구분하기 어렵다. 워낙 정보가 많은 때지만 그 많은 정보들 사이에서 진짜와 가짜를 가려내는 일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때로는 진실보다 더 자극적인 거짓을 믿기 쉬울 때가 많다. 자극적인 소식은 더 빨리 더 넓게 더 강렬하게 퍼진다. 소식이 퍼져나가는 경로가 한정적이고 정보가 지금보다 더 적었을 시절에도 이는 비슷했을 것이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사이버 공간의 하이브리드 전쟁에 대해 염려를 남겼는데 시간이 지난 뒤에 우리가 미처 눈치채지 못했던 정보 전쟁의 비밀에 대해 알게 되는 일이 있을까 궁금해졌다. 흥미로운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