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가 사랑을 데리고 온다
나태주 엮음 / &(앤드) / 2021년 1월
평점 :
때로 사는게 참 외롭단 생각을 한다. 그럴때는 가만히 타타타의 가사를 떠올린다. 우스운 것 같아도 그 가사가 얼마나 철학적인지. 문득 외로움도 납득하고만다. '바람부는 날엔 바람으로 비오면 비에 젖어' 산다는 가사가 마음을 채워주는데 문득 가사도 시구나 싶었다. 나태주 시인이 엮어낸 '시가 사랑을 데리고 온다'의 책머리에도 그런 말이 있다. '시가 사람을 살리는 좋은 약이라는 믿음을 나는 한순간도 놓아본 적이 없(6)'다는 고백이다. 노래 가사에 위로받는 것처럼 시도 마찬가지다. 우리를 위로해줄 것이다.
시 옆에 나태주 시인이 붙여둔 짧은 글들이 안정감을 준다. 아마 오롯이 시만 120편 소개되어 있었다면 다소 밋밋했을지도 모르지만, 옆에 놓여진 시인의 글귀를 함께 읽으니 훨씬 풍요로운 감상이 가능하다. 그냥 읽고 넘길 수 있는 시도 자신의 감상을 좀 더 확장할 수 있고, 때로는 이리저리 한정없이 퍼져나가는 감상을 갈무리하도록 돕기도 한다. 시집 '풀잎'의 서문(57)을 옮기며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함께 소개하기도 하고, 폴 베를렌의 시(174) 옆에는 어떤 상황에서 쓰여진 시인지 덧붙여 정보를 주기도 한다.
가장 인상깊었던 시는 아우구스트 슈트람의 '해 질 무렵'(166) 이라는 시였다. 유명한 시인과 시들 사이에서 처음 들어보는 시인의 처음 보는 시였는데, 공간의 모든 감각이 그대로 전해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게다가 말없이 나를 '이상스런 눈빛으로' 바라보고 있는 너의 존재까지 따뜻하고 말랑한 느낌을 주는 시였다. 마침 데미안을 막 읽어낸 뒤에 시집에서도 헤르만 헤세의 시를 만나니 반가웠다. '어머니께(20)'라는 시나 '들을 지나서(232)'는 문득 고향을 잃어버린 실향의 느낌을 준다. 우리는 때로 객지에서도 혹 자신의 집 방 안에서도 집으로 돌아가고픈 느낌을 받는다. 내 방 천장이 아득히 낯설어질 때 왜 그런 느낌이 들까 싶었는데, 이 깊고 오래된 홀로됨을 어쩌면 어머니의 옆에서 치유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작년 가을 국내 명시 114편을 엮어낸 '시가 나에게 살라고 한다' 이후로 나태주 시인이 엮은 해외 명시들을 만나니 또 새로웠다. 다음에는 나태주 시인과 함께 또 어떤 시들을 만날 수 있을까 기대도 된다. 다가오는 봄과 어울리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