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다정한 그림들 - 보통의 일상을 예술로 만드는 방법
조안나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23년 9월
평점 :
" 언제나 맛없는 비스킷을 먼저 먹고 가장 맛있는 건 나중에 먹는 나는, 힘든 일을 한번 겪고 나면 나머지는 웬만하면 다 웃어넘길 수 있다. 그러니까, 햇살 가득한 스타벅스에서 이 글을 쓰는 수요일은 행복 그 자체이다. (41) "
어떤 분야이든 전문적인 지식과 안목을 가진 사람들을 보면 괜히 거리감이 들었다. 굉장히 평범한 사람인 나는 언제든 어느 누구와든 대체될 수 있는 흔한 사람인데, 그들은 뭔가 특별한 능력이나 세상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았다. 특히나 예술을 감상하고 그걸 풀어낼 힘을 가진 사람들은 더욱 멀었다. 분야마저 어렵게 느껴지곤 했다. 요즘은 생각을 바꿔 나도 뭔가 생각하고 받아들이는 만큼 즐거웠다면 됐다고 생각하지만 모든 마음을 내려놓기는 쉽지 않다. '나의 다정한 그림들'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조금이라도 더 보고 배우고 싶어서였다. 그런데 저 문장을 읽는 순간 순식간에 거리가 좁혀졌다. 책의 리뷰도 수요일에 써서 남겨야지, 마음먹었다.
책을 읽고 감상을 쓰는 시간동안 항상 내려져있던 거실창의 블라인드를 일부러 올려두었다. 어떨 때는 별안간 책을 읽다말고 블라인드를 올리러 달려가곤 했다. 늘 모니터와, 화면과, 활자를 보던 눈이 어느 한 순간이라도 푸르고 일상적인 풍경을 바라봤으면 좋겠다 마음먹게 되는 책이었다. 하루종일 외부와 단절시켜놓고도 답답한 줄 몰랐던 공간에 개방감이 더해지는 변화를 덕분에 꽤 즐기게 되었다. 아파트 단지 안에 마련해둔 화단의 나무들이 조금씩 물드는 사소한 풍경이라도 시선 안에 들어오면 특별해지는데, 화가들에게 더 넓고 푸르른 자연이 주어진다면 그리지 않을 수 없었겠구나 싶었다. 그래서 자연과 정물을 그린 작품들이 많은 것일까. 모델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도 있겠지만.
읽으면서 공감도 많이 하고 닮은점을 찾아내기도 하느라 오래 걸렸다. 일상이 수시로 끼어드는 상황에서 할 일을 하는 고군분투인지라 책 안에는 코로나로 격리를 하던 시간, 반찬 해먹는 일, 잠들기 전 인터넷 쇼핑 같은 주제가 등장한다. 나 역시 책을 읽으면서 세탁소도 다녀오고, 분리수거도 하고, 택배를 받기 위해 몇 번이고 자리를 털고 일어나야 하면서 '느낌 있게 사는(183)'건 일상 안에서는 좀처럼 쉽지 않구나 했다. 어느 날 지인이 어떤 가수의 얘기를 하면서 결혼을 하면 예술성이 죽는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명곡의 탄생은 짝사랑과 실연 기간에 집중된다는 우스갯소리와 곁들인 말이지만 순간 당황스러움이 느껴지는 말이었다. 책을 읽으며 떠오른 그 말을 다시 생각해보니 책 한 권 읽는데도 생활이 끼어드는 순간이 있는데, 예술을 하며 느낌을 유지하기란 얼마나 더 어렵겠냐는 뜻으로 느껴져 속으로 그랬구나 했다.
이 책에서 발견한 가장 세속적인 지점은 미술 에세이를 쓸 때 저자가 거치는 4단계(129)를 설명한 부분이다. 어떤 분야에 대해 에세이를 쓰고 싶은 사람이 참고해도 좋겠지만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으로 써도 좋겠다. 전에는 전시를 가기 전에 미리 공부를 안해가면 이해도 못하고 어떻게 감상해야 되는지 모를 것 같아 걱정했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따라다니는 도슨트 안내 시간에 그림도 제대로 감상하지 못하면서 설명만 들으며 힘들게 쫓아다닌 적도 있다. 그런 감상법이 나에게 더 잘 맞아서가 아니라 잘 모르면서 보는 걸 부끄럽게 또는 의미없게 여긴 탓이다. 하지만 모르고 보는 시간도 필요하다. '좋다'고 느꼈다면 "내 삶에 필요한 이유"까지는 아니더라도, 왜인지 이유를 생각해보자. 같은 감상법들은 나에게 더 잘 맞는 방법이라 도움이 되었다.
많은 그림들이 소개되는데, 샐리 스토치의 그림(25)을 안내 받으며 기쁨을 느꼈다. 처음에는 자연스럽게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인가 했는데, 책에서도 스토치의 그림을 소개하며 호퍼를 말한다. 물론 나중에 호퍼의 그림도 등장한다.(143) 하지만 둘 사이의 분위기가 다르고 굳이 누구의 그림이 더 좋다고 평하지 않아도 될 만큼 시선을 끄는 각자의 매력이 존재한다. 카페라는 익숙한 공간이 화폭으로 옮겨져서일까. 잘 모르는 예술의 세계를 쉽게 설명해주고, 유명한 작가와 그림들을 배우는 내용도 좋지만, 이런 어렵지 않은 접근이 마음에 들었다. 내가 커피를 한 잔 내려 책을 읽는 시간처럼 그래서 어떤 '작품 속 의미'들보다 내 마음을 사로잡는 '분위기'를 예술에서 음미하는 순간을 선사한다. 새삼 '다정한'의 의미를 깨달았다.
책을 읽고 독후감을 정리하는 동안 잠시 여행을 다녀왔다. 책이 인상깊었던 탓일까, 흐리던 날이 개어 어느 날의 한라산을 바라보고는 책에서 본 오키프의 그림같다고 떠올렸다. 작가는 제주도 여행을 다녀오면서 아그네스 마틴의 <행복한 휴가>(225)를 이야기 했지만, 단순한 선이 칠해진 <행복한 휴가>보다는 캔버스에 유채로 그린 <페데르날>(91)이라는 그림이 한라산과 닮아 자연스럽게 연상되었다. 한라산이 이렇게 생겼었나 새삼스럽기도 했는데, 아마 이런 감상은 이전에 가지지 못했을 것이고, 앞으로는 혼자 한라산을 보며 이 그림을 떠올릴 것을 짐작하니 천천히 느리게 나를 변화시키는 힘이 독서에 남아있음을 발견한다. 책과 그림과 저자와 일상과 가까워지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