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만의 리듬으로 삽니다 - 80대 엄마와 50대 딸의 한 지붕 남남생활
신연재 지음 / 자음과모음 / 2023년 9월
평점 :
"우리는 불완전한 존재여서 어떤 선택이 가장 완벽한지 알 수 없다. 그래서 모든 선택은 불완전하다. 그 사실을 인정하고, 선택 뒤에 따라오는 결과에 대해 최선을 다해 감당하고 책임지는 것에서부터 진짜 삶이 시작되는 것 아닐까. (30)"
목소리는 생각보다 단단했다. 80대 어머니와 함께하는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가 담긴 에세이가 아닐까 생각했는데, 비혼인에 대한 그릇된 발언을 꼬집어내는 비판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엔 좀 당황했는데 잠시 생각해보고 이내 수긍했다. 적령기라 생각되는 시기부터 저자의 지금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많은 말들이 자주, 또 반복적으로 전해져왔겠는가. 그나마 비혼과 1인 가구가 이정도의 사회현상으로 나타나게 된 요즘에나 실례와 이해를 의식이나마 한다. 그러니 비혼인의 삶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할 때 하하호호 말랑한 일화가 놓여져있을거란 예상이 엇나가도 어쩔 수 없다.
" 지난번 강원도의 한 리조트에 갔을 때, 엄마와 산책을 나갔다가 어떤 할아버지가 혼자 벤치에 앉아 있는 모습을 봤다. 특별히 즐길 거리는 없어도, 가족과 함께 여행을 와 있다는 것 자체가 집에 혼자 우두커니 있는 것보다 저분에게 더 나은 일일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엄마와 나누었던 기억이 난다. (125)"
나이를 점점 먹어가면서 나이 먹는 일이 가장 무서울 때가 새롭고 멋진 경험이 생기면 그게 젊은 사람들에게 어울려보인다는 생각이 들 때다. 나 자신에게 제약을 두고, 다른 사람에게도 편견 어린 시선을 보내는 것이다. 요즘 나잇값이라는 것에 고민할 때가 있는데 나이 먹은 만큼의 어른스러움과 걸맞음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과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하고싶은 것을 하면서 살아야 한다는 생각이 부딪히곤 한다. 저자가 탱고를 배우려고 했을때 나이제한이 있는 것을 보고 '물 흐리는 나이'가 되었다(124)고 했는데 차갑고 뾰족하게 찔러오는 표현이었다. 어떤 어른이 되어야 하고 어떻게 나이를 먹어야 하는 것일까 한참동안 생각해보게 되었다. 나중에 주변인들을 만나 한번씩 물어봐야지 마음 먹었다.
저자가 여든이 넘은 어머니와 함께 살기 때문에 병간호라던지, 노후 돌봄의 주제가 나오는데 요즘 주변인들과 만나서도 적지 않게 나오는 얘기라 마음이 저절로 무거워지기도 했다. 전보다 병원에 방문할 일이 잦아지는 부모님을 모시고 병원순례를 떠나는 것이 혹은 가끔 입원이라도 하는 일이 생기시면 병실을 찾아가며 챙기는 것이 그동안 좀처럼 무관심해지기 어려운 나의 일이었기 때문이다. 누구는 당연히 자신이 챙길 몫이라고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내 앞에 부모님의 노후가 놓여진다고 생각하면 어쩐지 나는 버거워져서, 문득 (늙은 나를 돌보아 줄 나와 같은)내가 없는 내 노후는 어떨까 염려도 해보곤한다.
한 네번째 장에 들어서야 처음 기대했던 '엄마와 함께 사는' 일상적인 내용이 풀려나온다. 어떤 부분은 너무 똑같아서 웃고, 또 너무 똑같아서 피곤했다. 서로를 가장 아끼고 사랑하는 사이의 이야기니 당연히 소소하게 감동적이기도 하다. 어머니가 부추전을 해놓고 기다렸는데 저녁밥을 먹고 왔다고 하자 '미리 말을 해주지'(145)하셨다는 날의 이야기는 괜히 더 마음이 쓰였다. 언젠가부터 우리 엄마도 내가 먹을 음식을 잔뜩 해두고는 마음대로 골라가며 담아가는 나에게 선택받지 못한 음식들이 얼마나 맛있고 좋은지 홍보하신다. 선심쓰듯 그럼 조금 더 가져간다고 하면 신나서 가방에 담아주시니, 부추전을/반찬을 해놓고 기다리는 엄마의 마음이 생각나는 이야기였다.
공감도 하고 감동도 하고 대체로 웃으면서 때로는 심각한 고민에 빠져들며 그러나 즐겁게 읽었다. 에세이를 자주 읽지는 않는데 이렇게 가끔씩 마음에 드는 에세이를 만날 때면 더욱 반갑고 즐겁다. 비혼을 결심하는 젊은 세대가 많다고 하던데 조금 멀지만 가까운 미래의 혼자사는 삶이 어떨지 궁금하다면 '우리만의 리듬으로' 산다는 것이 어떤지 엿봐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