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 소녀를 만나다
이영환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멍청이는 나다. (152) "


 단 한 줄로 한 쪽을 전부 채워낸 문장이 가장 인상깊었다. 사랑에 빠진 사람들에게 던지고 싶었던 말이 아닐까. 멍청이가 된 줄도 모르는 혹은 알고도 어쩔 수 없이 멍청이가 되어버리는, 사랑에 빠진 사람들. 아쉬운 순간이 하나도 없이 완벽한 연애를 하는 사람이 있을까? 내가 서투르고 혹은 세련되지 못해서일지 모르지만 진심이었던 순간들에는 언제나 멍청했던 내 모습이 있었다. '소년, 소녀를 만나다'는 그런 멍청했던 날들에 대한 이야기다. 굉장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풀어내는데 읽다보면 이상하게 공감된다.


 앞에 써둔 짧은 문구는 #17 멍청이 내용에 나온다. 거기엔 " 그 남자애가 그애를 향한 마음을 학원 남자애들 앞에서 드러냈을 때, 그는 그애에게 접근할 수 있는 독점적 자격을 학원 남자들로부터 얻은 셈이었다. 그건 우리의 암묵적인 룰이었고, 누구나 아는 그 룰을 어기는 것을 무리는 좋아하지 않았다. '나도 그애가 좋다'라는 단순 명쾌한 명분을 나는 그 완고한 룰 앞에서 내세우지 못했다.(156) "는 내용이 나오는데, 다른 친구가 먼저 누군가를 좋아한다고 공표하고 나면 어쩐지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기 어려워지는 미묘한 마음과 분위기를 잘 드러내 그게 어떤 상황인지 알 것 같았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게 뭐라고, 싶은 작은 행동들이 좀처럼 앞으로 나가지 못하던 때를 하나씩 솔직하게 보여준다. 보고도 알은 체 인사를 건네지 못했던 날, 어떤 말로 고백해야 할지 실없는 고민을 나누던 날, 속마음과는 다른 모난 말만 하던 날, 작은 친절에 큰 의미를 부여하던 날, 모른 척 속마음을 떠보고 싶던 날들이 그림과 글로 펼쳐진다. 조금 간지럽고, 손과 발도 한번씩 접었다 펴주고, 잊어버린 척 살았던 누군가의 얼굴과 목소리를 떠올리다 보면 순식간에 마지막 책장에 다다른다. 어쩌면 책을 읽는 시간보다 혼자서 속으로 되뇌이는 추억들이 더 오래도록 이어졌는지 모른다.


 이 책의 가장 재밌는 부분은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데 작가의 말에 있다. " 좋아했던 소녀를 그리는 내게 "걔의 어떤 부분이 좋았어?"를 묻지 않은 아내에게 감사합니다. (189) "라고 적혀있는 부분이었다. 이 도발적인 문제작을 그리는 동안 장난으로라도 저 질문을 하지 않은 데에 감탄과 웃음을, 또 기어코 소녀들을 그려낸 의지와 용기에 웃음을 보내며 책장을 덮었다. 그리고 머리속에 떠오르는 과거들도 함께 다시 저편 어딘가로 덮어두기로 한다. 내일은 좋아하는 사람에게 떡볶이를 먹으러 가자고 청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며. 우리 모두 소년/소녀의 마음으로 내일은 떡볶이를 먹으러 가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