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2011

˝몰인정한 게 아닙니다. 비인정하게 반하는 겁니다. 소설도 비인정으로 읽기 때문에 줄거리 같은 건 아무래도 좋은 겁니다.˝


유유자적한 삶이란 어떤걸까? 그냥 아무 일없이 가만히 앉아있는 삶을 말하는건 아닐것이다. 생각과 생각, 자신에 대해 돌아보고 삶에 대해 끝임없이 철학하는 것이 유유자적한 삶이 아닐까?

[˝이지(이성과 지혜)만을 따지면 타인과 충돌한다. 타인에게만 마음을 쓰면 자신의 발목이 잡힌다. 자신의 의지만 주장하면 옹색해진다. 여하튼 인간 세상은 살기 힘들다.˝]  P.15

[살기 힘든 것이 심해지면 살기 편한 곳으로 옮겨 가고 싶어진다. 어디로 옮겨 가도 살기 힘들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시가 태어나고 그림이 생겨난다.]  P. 15

[서른이 된 오늘날에는 이렇게 생각한다. 기쁨이 깊을 때 근심 또한 깊고, 즐거움이 클수록 괴로움도 크다. 이를 분리하려고 하면 살아갈 수가 없다. 치워버리려고 하면 생활이 되지 않는다.]  P.16



˝나쓰메 소세키˝의 세번째 소설인 <풀베개>를 읽다보면 유유자적한 삶이란 이런것이구나 하는걸 느끼게 된다. 그의 삶에 대한 통찰, 작가로서의 고민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실연의 고통을 잊고 그 부드러운 면이나 동정이 깃드는 면, 수심 어린 면, 한 발 더 나아가 말하자면 실연의 고통 그 자체가 흘러넘치는 면을 단지 객관적으로 눈앞에 떠올리는 데서 문학과 미술의 재료가 된다.]  P.47



그리고 이 책은 소설이지만 한 폭의 그림을 보거나 시를 읽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한문장 한문장 너무 마음에 와닿았다. 그래서 이야기의 줄거리 보다는 화자인 화가가 타자화 되어 바라보는 풍경과 사람들, 그리고 그가 지어내는 하이쿠와 사색을 중심으로 책을 읽었다.
(사실 이 책의 주제를 관통하는 줄거리는 없다. 게다가 화가인 그는 한폭의 그림도 완성하지는 못한다.)

[세상에는 혼자만의 수수한 삶을 사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이 내세에 환생하면 아마 명자나무가 될 것이다. 나도 명자나무가 되고 싶다.]  P.166




개인적으로는 ˝소세키˝의 데뷔작인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와 두번째 작품인 <도련님>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다. <그 후>로 ˝소세키˝를 처음 접해서 그런지 앞의 두 작품은 내가 읽고 싶었던, 우울하지만 여운이 남는 ˝소세키˝의 작품은 아니었다.


그래서 ˝소세키˝의 세번째 작품인 <풀베개>도 왠지 초기작의 분위기와 유사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 이 책은 확실히 앞의 두 작품과 분위기가 다르며, 이후 출판되는 그의 작품의 근원이 되는 전환점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소세키˝의 작품을 전작하고 싶다면 <풀베개>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Ps . ˝나쓰메 소세키˝ 전작도 이제 네권 남았다.
아직 안읽은 <우미인초>, <갱부>, <춘분 지나고까지>, <명암>을 순서대로 읽어야 겠다.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아 2022-01-17 22:57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의외로 이 책은 200쪽대네요?! ‘유유자적‘에 관한 새파랑님의 설명 참 좋아요.^^ 발췌문은 제가 생각했던 것들이라 놀랍고 반갑네요. 꼭 읽어야겠어요!! <나는 고양이..>하나읽고 더이상 소세키작품 읽을 생각을 안했었는데 새파랑님과 그레이스님,페넬로페님의 리뷰를 보며 더 읽어야겠구나, 전작의 욕심이 스멀스멀 피어오릅니다.ㅎㅎ

새파랑 2022-01-17 23:00   좋아요 6 | URL
주말에 알라딘 우주점 갔는데 중고로 있길래 냉큼 구매했습니다 ㅋ 주말에 책은 안읽고 책만 샀어요 😅

이 책 보다는 <행인>, <산시로>, <그 후>를 먼저 추천합니다~!! 애네들은 재미도 있어요 ^^

페넬로페 2022-01-17 23:12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와, 풀베개 너무 읽고 싶네요.
유유자적한 삶에 대해서도 알고 싶고
마음에 와 닿는 소세키의 문장을 어서 만나고 싶어요~~
이제 네 권 남으셨네요
열심히 따라가겠습니다^^

새파랑 2022-01-17 23:39   좋아요 4 | URL
페넬로페님은 이미 많이 읽으셔서 이 책 마음에 드실거 같아요. 막 재미있게 읽는 책이라기 보다는 그림을 보는 것처럼 읽으시면 좋을거 같아요 ^^

그레이스 2022-01-17 23:18   좋아요 7 | 댓글달기 | URL
화이팅 새파랑님
한편의 그림을 보는것 같다는 감상에 동의합니다
언젠가 다시 꺼내볼 날이 있겠지 하고 전작을 모셔두고 있습니다^^

새파랑 2022-01-17 23:41   좋아요 5 | URL
그레이스님의 명품 <풀베개>리뷰를 다시 보고 감탄 했습니다~!! 이 책은 재독이 필수인 작품 같아요 ^^

scott 2022-01-18 00:5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소세키 옹 작품 중
풀베게-우미인초 요렇게 좋아합니다!^^

demianee 2022-01-18 01:51   좋아요 5 | URL
우미인초 너무 어려워서 두 번 읽기 시도하고 치웠어요..ㅎㅎ 조만간 다시 읽어보고 싶어요

새파랑 2022-01-18 06:34   좋아요 4 | URL
<우미인초>는 좋지만 어려운 작품인가 보네요 ㅎㅎ 유명하고 재미있는 책만 먼저 읽다고니 남은 책들이 다 어려운 것들 뿐인거 같아요 😅

mini74 2022-01-18 01:0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나쓰메 소세키 전작도 거의 끝나가시는군요 새파랑님 👍 전 사놓고 아직 ㅠㅠ 읽어야 하는데 말이죠 ㅠㅠ ㅎㅎ

새파랑 2022-01-18 06:36   좋아요 5 | URL
우주점에 현암사 이 책 말고 다른 중고도 있었는데 안산게 후회가 됩니다 ㅜㅜ 나머지는 새책으로 읽어야 할거 같아요 ㅎㅎ

초란공 2022-01-18 01:1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언제 소세키 옹을 시작하셨나요^^ 저는 시작은 않하고 일단 거의 다 모아갑니다 ㅋㅋ

새파랑 2022-01-18 06:38   좋아요 5 | URL
조금씩 야금야금 읽다보니 그래도 많이 읽었더라구요 ㅋ 다 모으셨다니 부럽습니다. 전 몇권은 빌려읽고 이북으로 읽고, 출판사도 다 달라서 아쉽네요 ㅜㅜ

바람돌이 2022-01-18 01:28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소세키는 언제 제가 접할까요? 세상에 읽고싶은 책이 너무 많은데 소세키 손에 잡으면 전작을 읽어야 할 거 같은 느낌이랄까? 이런 기시감은 도대체 뭘까요? 너무 많은 분들이 소세키를 이야기해서 무조건 다 읽어야 할 거 같달까요? ㅎㅎ 일단 지금 내게는 버지니아 울프가 있으니까 그녀 다음에는 소세키에 도전해볼지도...... 풀베개 꼭 기억하고 제일 먼저 읽어야지.

새파랑 2022-01-18 06:40   좋아요 6 | URL
현암사 시리즈 출판 순서대로 읽으시면 아마 더 재미있게 읽으실 수 있을거 같아요 ㅋ 소세키가 글을 잘 써서 책은 잘 읽히는데 어떤 책은 좀 어렵기도 한거 같아요~!

페크pek0501 2022-01-18 12:1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도 도련님을 재밌게 읽었는데 풀베개를 꼭 읽어야겠군요. ^^

새파랑 2022-01-18 12:33   좋아요 1 | URL
참고하실게 도련님이랑 풀베개랑은 분위기가 완전 다릅니다 ㅋ 도련님은 밝은 편인데 풀베개는 완전 사색적이에요 ㅋ

그런데 감성적인 페크님은 오히려 풀베개를 더 좋아하일 수 있을거 같아요~!!

희선 2022-01-18 23: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 소세키가 세번째로 쓴 거였군요 여기에서 자신의 예술론을 말하지 않았나 싶기도 합니다 앞으로 네 권 남았다니, 2022년에 다 보시겠습니다


희선

새파랑 2022-01-19 00:30   좋아요 0 | URL
소세키 예술론이 잘 담겨있더라구요~! 소세키 전작 네권이 남았는데 다 어려운 작품만 남았어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