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왕자의 눈 - 인생에서 중요한 것을 알아보는 지혜
저우바오쑹 지음, 취화신 그림, 최지희 옮김 / 블랙피쉬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한 팟캐스트에 출연한 뮤지션 요조가 정말 좋아하는 사람에게 꼭 선물하고 싶은 책으로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를 꼽았다. 내가 좋아하는 요조가, 좋아하는 사람에게 선물하고 싶은 책이라니. <어린왕자>를 읽고 대단한 감흥을 받지 못한 나는 <어린왕자>의 어떤 매력이 요조를 사로잡았는지 궁금해졌다. 마침 블랙피쉬에서 홍콩의 정치철학자가 <어린왕자>를 재해석한 책 <어린왕자의 눈>과 <어린왕자> 문고판을 묶은 세트를 출시했기에 읽어봤다.


<어린왕자의 눈>의 저자 저우바오쑹은 문학을 사랑하고 교육에 관심이 많은 정치철학자라고 자신을 소개한다. 2014년 9월 홍콩에서 우산혁명(홍콩 행정장관 선거의 완전 직선제를 요구한 민주화 시위)이 일어났을 때 저자는 수십만 명의 홍콩인과 함께 거리로 나가 시민불복종 운동에 참여했고 경찰에 체포되었다. 운동이 실패로 끝난 후 몸과 마음이 지친 저자는 대만에서 방문학자로 지내며 쉬다가 <어린왕자>를 만났다. 어릴 적에 읽고 다시 읽은 <어린왕자>는 아이들이 아니라 어른들을 위한 책이었다. 저자는 <어린왕자>를 읽으며 자기 삶의 장미와 여우를 찾고, 동심, 자유, 책임, 고독, 길들여짐, 사랑, 생의 오묘한 비밀과 죽음의 고민을 성찰하는 시간을 가졌다. 


저자는 어린 시절 생텍쥐페리가 코끼리를 삼킨 보아구렁이 그림(<어린왕자>에 나오는 그 유명한 그림이다!) 두 장을 그려 어른들에게 보여주었다가 쓸데없는 짓 하지 말고 공부나 하라는 꾸중을 들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른들은 아이가 잘 되기를 바란다는 이유로 아이가 하고 싶어 하는 일 대신 장래에 도움이 되는 일, 즉 좋은 학교에 합격하거나 성공 가능성이 높거나 남들에게 자랑할 만한 일을 하기를 권한다. 이로 인해 아이는 일찍부터 꿈꾸기를 포기하고 어른들과 별로 다르지 않은 그저 그런 어른으로 자라난다. 어른이 되어 아이들에게 똑같이 충고한다. 쓸데없는 짓 하지 말고 공부나 하라고. 


저자 또한 생텍쥐페리와 비슷한 경험을 했다. 중, 고등학교 시절 저자는 글쓰기에 빠져 작가가 되겠다는 꿈을 꾸었지만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주변 어른들의 충고에 따라 경영학을 전공하기로 했다. 그러나 막상 대학에 진학해보니 경영학이 적성과 맞지 않았고, 결국 저자는 주변 어른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정치철학을 전공해 작가로서도 활동하게 되었다. 그때 깨달았다. "자기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마음 깊은 곳에 있는 자아가 향하는 길을 충실히 따라 걷는 것이야말로 자신이 진정 원하는 삶이라는 것을." 


진정한 자아를 깨닫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완성해나가는 것은 <어린왕자>의 핵심 주제인 '길들여짐'과도 관계가 있다. <어린왕자>에서 어린왕자는 들판 위에 핀 오천 송이의 장미보다 어린왕자에게 있어 이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존재인 장미가 더욱 소중하다고 말한다. 어린왕자와 장미는 단둘밖에 없는 소행성 B612에서 긴 시간을 함께 보내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며 서로를 길들이고 서로에게 길들여진 사이이기 때문이다. 


자기 자신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자신이 징정 원하는 것, 하고 싶은 것을 하지 않고 외면하거나 무시하면서 사는 것은 자기 자신을 길들이거나 자기 자신에게 길들여질 기회를 놓치는 것이고, 이는 주어진 삶을 제대로 살아보지도 못하고 죽는 길을 택하는 것이다.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사랑할 수 있는 사람, 즉 자기 자신에게 잘 길들여지고 자기 자신을 잘 길들인 사람은, 다른 사람을 보다 쉽게 사랑할 수 있고 길들일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길들여질 수도 있다. 


개인의 행복한 삶은 사회 제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제도는 자연히 생겨난 질서가 아니라 인간이 만들어낸 산물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어떻게 바꿀 것인가는 우리가 그리는 정의로운 사회의 모습, 함께 세상을 바꾸려는 결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길들여짐은 정치적인 것이다. (215쪽) 


길들여짐은 사람과 사람의 교류이고, 사람과 사람의 교류는 사회 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성차별, 인종 차별, 민족 차별, 장애인 차별, 성소수자 차별 등이 묵인되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자유롭게 사귀지 못하고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 못하며 매일 대립과 갈등에 노출된 채 사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길들여짐은 권력으로 사람을 짓누르는 것도 아니고 정복하는 것도 아니고 온갖 방법을 동원해 굴복시키는 것도 아니다. 서로 상호적이고 대등한 관계 속에서 소통하는 가운데 타협점을 찾는 것이다. 


저자는 독자들이 <어린왕자>를 통해 자기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길들여짐의 의미를 깨닫기를 바란다. 삶을 보다 진지하게 성찰하고 진실된 태도로 살아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사회가 더욱 공정하고 공평해지며 민주화로 가는 길도 앞당겨질 거라고 믿기 때문이다. 이는 온갖 차별이 만연하고 대립과 갈등이 끊이지 않는 한국 사회 내에서도 유의미한 메시지가 아닌가 싶다. 부디 많은 독자들이 <어린왕자의 눈>을 통해 <어린왕자>를 읽는 눈을 키우고, 자신의 삶과 사회를 대하는 태도도 성찰해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