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여자들
록산 게이 지음, 김선형 옮김 / 사이행성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소설은 허구를 가정하는 장르다. 하지만 어떤 소설은 허구보다 실제에 가깝고, 실제에 가까워서 읽기가 힘들기도 하다. 나의 경우 대학 시절에 읽은 <아리랑>, <태백산맥>이 그랬고, 최근에 읽은 책 중에는 <영초 언니>, <군함도>가 그랬다. 실제보다 허구에 가까운데도 읽기가 힘든 소설도 있다.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그랬다. 육식을 거부하다가 나무가 되어가는 여자의 이야기라니. 허구임이 분명하지만 여자의 고통이 절절하게 다가와 읽는 내내 나도 아팠다. 


<나쁜 페미니스트>의 저자 록산 게이의 소설집 <어려운 여자들>은 그 중간쯤이다. 이 책에 실린 소설들은 허구라기엔 실제를 닮았고, 실제라기엔 허구 같다. 허구인데도 고통스럽기나 실제라서 마음 아프기는 마찬가지다. 


저자는 성폭행 피해자, 가정 폭력 피해자, 비혼모 등 남성 중심의 사회 체제 내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여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한다. 남자 무서운 줄 모르고 짧은 스커트를 입고 다닌다고 헤픈 여자 소리를 듣는 여자, 남자를 경계하는 것이 일상이 된 나머지 미친 여자 소리를 듣는 여자 등 마음 편히 살기가 '어려운 여자들'에게 주목한다. 남자를 증오하면서도 남자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남자로부터 벗어났으면서도 남자에 대한 책임감을 여전히 느끼는, 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여자들'도 나온다. 


이들 대부분은 상황을 타개하는 방법을 찾지 못한 채 결말을 맞는다. 독자에 따라서는 작가가 왜 해답을 제시하지 않느냐고, 이들이 행복해지는 모습을 왜 보여주지 않느냐고 반문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작가의 역할은 상황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소설의 목적은 등장인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해피엔딩을 맞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소설은 답이 아니라 문제다. 소설을 읽을 때는 소설 안에서 답을 찾을 것이 아니라, 소설 안에서 찾은 문제의 답을 소설 밖에서 구해야 한다.


이 소설을 통해 내가 찾은 문제는 '여자는 왜 좀 더 여자의 이야기를 하지 않는가'이다. 남자 이야기 말고, 연애 이야기 말고, 결혼 이야기 말고, 좀 더 다양한 여자의 이야기를 읽고 싶고 생각해보고 싶다. 남성 작가들이 쓰는 성녀 아니면 창녀 이야기 말고, 요조숙녀 아니면 팜므파탈 이야기 말고, 현실에서 본 듯하고 생생하게 느껴지는 여자의 이야기를 만끽해보고 싶다. <어려운 여자들>처럼 어려운 소설, 불편한 소설, 읽기 힘든 소설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