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식사법 - 영양은 올리고 체중은 줄이는 식사의 10가지 법칙
모리 다쿠로 지음, 박재현 옮김 / 반니라이프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체중을 줄이려는 노력은 하면서도 혹 물질대사를 높이려는 노력은 하지 않은 것 아닐까?" 일본의 헬스 트레이너이자 물리치료사인 모리 다쿠로는 저서 <마흔 식사법>에서 '물질대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물질대사(metabolism)란 "생명유지 활동에 꼭 필요한 에너지의 획득이나, 성장에 필요한 유기재료를 합성하기 위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생화학적 반응의 총칭"이다. 쉽게 말해 몸에 필요한 영양소만 간직하고 몸에 불필요한 열량은 배출하는 작용이다. 아무리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량을 해도 체중이 줄지 않는 이유는 '물질대사 기능이 떨어져서'다. 나이가 들면 물질대사의 효율성은 더 떨어진다.


물질대사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다. 저자는 식사의 절반을 고기, 생선, 계란, 콩, 버섯 등 단백질 위주의 식품으로 채울 것을 권한다. 침은 살을 빼주는 엑기스이므로 음식을 섭취할 때는 여러 번에 걸쳐 꼭꼭 씹어먹는 것이 좋다. 달걀은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이므로 콜레스테롤 걱정하지 말고 많이 먹어도 괜찮다. 그래도 모르겠다면, 콩-깨-미역-야채-생선-버섯-감자를 먹는다. 밀가루와 설탕은 '2대 비만식'이므로 최대한 멀리하는 것이 좋다. 하루 1개 이상 먹으면 몸에 안 좋은 줄 알았던 달걀, 다이어트의 적인 줄만 알았던 지방을 많이 먹어도 괜찮다니 놀랍다.


저자가 지적하는 '잘못된 식사법'의 예도 놀라움의 연속이다. 야채부터 먹는 습관은 단백질의 주공급원인 고기나 생선의 섭취를 제한하므로 좋지 않다. 집밥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적은 예산으로 여러 식구가 배불리 먹을 만한 메뉴를 만들다 보면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이 되기 쉽다. 운동만으로 살이 빠지는 것도 아니다. 원래 운동은 건강을 위해, 몸을 만들기 위해 하는 것이지 살을 빼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한 시간 열심히 뛰어 얻는 소비열량은 고작 400kcal이다. 이 정도의 열량을 소비하기 위해 힘들게 달리느니 500kcal 빵을 안 먹는 게 낫다. 


책을 읽고 나서 점심 식단을 훑어보니 생각보다 먹을 것이 많지 않았다. 계란말이 두 개, 생선 한 조각을 제외하면 단백질 공급원이 아예 없었다. 반찬에 비해 밥의 양도 많고, 나물 반찬과 김치도 물질대사를 높이는 영양 공급원이 되기에는 부족해 보였다. 식후에 먹는 카페라테 한 잔, 간식으로 먹는 쿠키 한두 개도 저자가 경계하는 '당 중독'을 부르는 음식이다. 여태까지 대체 무엇을 먹고 어떤 힘으로 살아온 걸까. 마흔은 아니지만 식사법을 당장 바꿔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