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5

인생은 짧다. 그러나 '시'라는 형식을 빌리면 21세기의 일본 사회를 살고 있는 나라는 인간이 80년 전의 루쉰, 60년 전의 나카노 시게하루, 그리고 조국의 과거 시인들과 교감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내가 50년 전에 쓴 시(비슷한 것)까지 되살아나 나를 채찍질한다. 이러한 정신적 영위는 모든 것을 천박하게 만들고 파편화하여 흘려버리려 드는 물길에 대항하여, 인간이 인간으로서 살아남고자 하는 저항이다. '저항'은 자주 패배로 끝난다. 하지만 패배로 끝난 저항이 시가 되었을 때, 그것은 또 다른 시대, 또 다른 장소의 '저항'을 격려한다.


p.55

한국에 사는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일본과는 다르지만 어딘가 비슷하기도 한 답답한 벽을 느끼는 일이 간혹 있다. 나는 그것을 일단, 한국과 일본의 메이저리티(majority)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국민주의'라고 부르고 있다. 내가 '국민주의'라고 부르는 것은 인간을 '국민'과 '비국민'으로 나누고 그 사이에 존재하는 부당한 차별에는 무관심하면서 자신이 '국민'으로서 국가의 비호 - 그것은 동시에 구속이기도 하다 - 를 받는 것을 당연시하며 의심치 않는 심성을 가리킨다. 이런 심성은 일본이나 한국이나 '국민' 대부분이 가지고 있다. 


p.209 <증언불가능성>

(프리모 레비 저) <이것이 인간인가>에는 수용소에서 밤마다 꾸었던 악몽에 관한 글이 나온다. 석방되어 돌아온 후 자신이 경험했던 일을 열심히 이야기하지만, 알고 보니 가족들조차 무관심하고 누이동생은 슬쩍 일어나 옆방으로 가버린다는 악몽이었다. 한 40년 후, 죽기 바로 전해에 출간한 에세이집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에는, 아무리 증언해봤자 제대로 전해지지 않는 데 대한 허탈감이 배어 있다.


p.216

요컨대 '홀로코스트' (책에선 '제노사이드'라는 표현이 더 적확하다고 말함) 경험을 '유대인의 경험'으로서 점유하는 것이 아니라, 팔레스타인 사람 등의 '다른 고난'과 연결하여 상상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다. '자신의 고난'을 철저하게 응시하는 것이 '타자의 고난'을 향한 상상으로 열릴 수 있는가. 바로 이것이야말로 그 작품이 '세계문학'으로서의 보편성을 지니는지 판단하는 분기점이리라.


p. 253

'I was born'이라 말하듯, 태어난 아이는 절대적 무방비 상태라 부모나 가족(넓게 말해 어른)의 보호 없이는 살아남을 수가 없다. 거꾸로 말하자면 아이를 만든다는 행위에는 (굳이 그의 직접적 부모라는 의미에 한정하지 않고) 아이를 보호할 어른들의 의무와 책임이 따른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랑'이라는 낱말로 표상되지만, 실은 '가족'이라는 사회적 단위를 구성하는 존재로서의 사회적 책임이라고도 볼 수 있다. 

... 하지만 아이는 무방비하기 때문에, 성장할 때까지는 어른에게 의존해야 한다. 여기서 권력관계가 생긴다. 원래는 사회적 단위의 구성원 전원에게 필요해서 생겼을 가족적 유대가 권력관계라는 형태를 띠는 것이다. 아이, 노인, 여성 등 가족 안의 약자에게 가족이라는 관계는 이탈하기가 극히 어려운 구속이다. 거꾸로 말하자면, 일가의 '가장'에게 가족이란 자신이 확실하게 지배할 수 있는 집단인 것이다. 가정 내 폭력이나 아동학대 사례는 이런 면의 단적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국민은 하나의 가족'이라거나 '피를 나눈 우리'와 같은 식으로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가족관계나 혈연관계에 비유하는 것은, 구성원 각자의 자발적인 참가를 전제로 해야 할 사회조직을 마치 '운명 공동체'인 양 묘사하여 구성원들을 권력관계로 묶어둘 위험을 내포한다. 그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가족이라는 것이 각 개인에 의해 구성되는 사회적 단위라는 사실을 새삼 인식해야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