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여행에게 묻습니다 - 진짜 여행에 대한 인문학의 생각
정지우 지음 / 우연의바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달 뒤늦은 여름휴가 겸 일본 여행을 다녀왔다. 6년 만에 가는 해외여행인지라 출발하기 한 달 전부터 가이드북이며 일본 관련 서적을 열심히 찾아 읽었다. 인터넷에서 여행 후기도 하루에 열 편, 스무 편씩 찾아봤다. 노트에 필기도 하고, 프린트도 하고 정신없이 공부했다. 그러다 어느 순간 이상한 걸 발견했다. 다들 똑같은 곳에 가서 비슷한 사진을 찍고, 똑같은 곳에 가서 비슷한 음식을 먹고, 비슷한 후기를 쓰는 게 눈에 들어왔다. 이런 걸 보고 여행을 한다면 나 또한 이들과 똑같은 곳에 가서 똑같은 후기를 남길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니 오싹했다. 나는 여행을 하려고 했지, 답사를 하려고 한 게 아닌데.


  한국인 여행객들은 순서와 머무는 시간만 조금 다를 뿐, 거의 동일한 여행 루트와 볼거리, 그리고 같은 목적 속에서 움직였다. 마치 똑같은 여행 컨설팅 회사에 의뢰하기라도 한 듯, 사람들이 가는 도시, 그 도시에서 보는 것, 하는 것이 거의 똑같았다. 피렌체에서는 가죽 쇼핑을 하고, 스위스에 가면 골든패스를 타고, 독일에 가면 학센을 먹는 식이었다. ... (중략)... 나는 보다 다양한 자기만의 여행, 그 속에서 느낀 것, 체험한 것, 나아가 자기 자신과 이 여행에 대해 했던 생각들을 폭넓게 듣고 싶었지만, 조심스레 그런 주제를 던져 봐도 돌아오는 대답은 별로 없었다. (p.18)

 

  <당신의 여행에게 묻습니다>의 저자도 여행을 하면서 비슷한 걸 느꼈다. 외국인 여행객들은 남들과 다른 걸 보고 느끼는 자기만의 여행을 추구하는 반면, 한국인 여행객들은 남들이 가본 곳에 가고, 남들이 좋다고 하는 볼거리를 보고 맛있다는 음식을 먹길 원한다. '어디 가서 뭘 봤다고 해야 잘 했다고 소문이 날까' 하는 식이다. 이는 여행의 본질과는 거리가 멀다. 여행이란 일상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지는 활동이다. 익숙한 공간, 익숙한 사람들로부터 벗어나 온전히 자기 자신으로 생활해보는 경험이다. 그 속에서 뭔가 새로운 걸 느끼고 배우는 것이 진정한 여행이다.


  저자는 여행의 의미와 목적이 변질된 것은 자본주의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세상은 바야흐로 여행의 시대가 되었다. 소비가 인생 최고의 쾌락으로 인정받는 가운데, 여행은 그중에서 가장 값비싸면서도 가치 있는 소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p.4) 학생들은 방학 때 여행 가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고, 직장인들은 휴가를 가기 위해 회사에 나간다. 지금 뼈빠지게 일을 하는 건 은퇴 후 한가롭게 여행을 다니기 위해서다. 일하면서 여행을 할 수 있는 직업은 최고의 직업이다. 파일럿과 스튜어디스, 여행 작가 같은 직업들이 그렇다. 교사도 좋다. 방학 때마다 몇 달씩 여행을 갈 수 있으니까.


 

  "이제 이 사회를 지탱하는 것은 여행이 되어가고 있다. 여행이 없다면 과연 자본주의는 얼마나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을까? 우리에게 저 수많은 도시들, 약속의 땅들, 아름다움과 행복이 가득한 천국들로 언제든지 떠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없다면, 우리는 그렇게 충실히 돈을 버는 일에 몰두할 수 있을까? 언젠가 사랑을 얻으리라는 보장을 믿고 일하던 청년들은 이제 여행을 믿게 되었다. 세상 끝까지의 여행, 고급 호텔에서의 와인 한 잔, 크루즈에서 사랑하는 사람과 보내는 밤은 우리 욕망의 '최종 목적지'에서 손짓하고 있다. (p.7)


  오늘날, 특히 한국에서는 여행이 하나의 상품, 소비 대상으로 전락했지만, 잘만 하면 여행의 본질에 가까운 진정한 여행을 할 수도 있다. 저자는 자신의 체험을 예로 든다. 저자는 20대를 통틀어 다양한 여행 경험을 했다. 패키지여행도 해보고 배낭여행도 해보고, 단기 여행도 해보고 100일간의 장기 여행도 해보고, 관광객도 되어보고 인솔자가 되어보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저자는 자신에게 맞는 여행 스타일을 찾아갔다. 패키지여행보다는 배낭여행이, 단기보다는 장기 여행이 잘 맞고, 인솔자가 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도 깨달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여행을 하면서 끊임없이 질문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여행을 하는 내내 '여행에서 무엇을 얻었나', '여행이 왜 가치 있나', '여행이 왜 좋은가', '여행을 다니며 어떤 생각을 했나'를 자기 자신에게 물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가이드북이나 인터넷 후기에 나오는 여행을 따라 하는 '답사' 여행은 이러한 질문을 하기에 부적절하다. 항상 시간과 일정을 생각하고 비용과 효율을 따지는 여행을 할 때도 불가능하다. 지난날의 나를 잊고, 떠나온 일상에 대한 고민과 걱정은 내려두고, 오로지 시공간에 몸을 맡긴 채 천천히 걷고 마주치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받아들일 때만이 가능하다. 지난가을, 나는 이런 여행을 했을까. 한 번 깊게 생각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