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이란 무엇인가 - 데카르트, 칸트, 하이데거, 가다머로 이어진 편견에 관한 철학 논쟁을 다시 시작한다
애덤 아다토 샌델 지음, 이재석 옮김, 김선욱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편견이란 무엇인가>의 저자 애덤 샌델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샌델의 아들이다. "아버지 마이클 샌델의 사상에 대한 철학적 갈증을 해결해 주는 책"이라는 광고 문구를 보고 덥석 구입했으나, 솔직히 이 책, 읽기가 결코 쉽지 않다. 아버지 마이클 샌델의 책이 대학 강연에 기반하고 있어 사례가 많고 대중에게 친밀한 문장으로 쓰인 데 반해, 이 책은 형식이 정통 논문에 가깝고 문장도 딱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 애덤 샌델의 주장이 시사하는 바는 이해하려고 노력해볼 만하다.



편견이란 무엇일까? 사전에 따르면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에 치우친 생각을 뜻한다. 헌데 단지 이뿐일까? 저자는 편견에 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것을 권한다. 편견은 데카르트, 칸트, 하이데거, 가다머로 이어지는 오랜 논쟁 주제로, 대부분의 학자들과 대중은 편견을 진리와 다른, 특정 견해나 입장에 구속된 자유롭지 못한 생각으로 정의하며 옳지 않게 여긴다. 저자는 이에 대해 반기를 들며 편견 또한 진리일 수 있고 자유와도 모순되지 않는다는 점을 어필한다. 그 근거가 무엇일까.



저자는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저작을 살펴봄으로써 편견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가다머는 "계몽기 이전까지는 편견이라는 개념이 오늘날 우리에게 익숙한 부정적 의미를 갖지 않았다"고 언급하며 편견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도전한 바 있다. 저자는 편견에 대한 경멸적 인식에는 편견이 특정 권위나 영향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개인이 처한 삶의 환경으로부터 비롯된 정황적 판단이라는 근거가 내재해 있다고 지적하며, 이중에서 특히 정황을 고려한 판단을 무조건 배척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설명한다.



예를 들면 이렇다. 존 F.케네디나 린드 존슨 대통령,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같은 정치적 인물의 연설이 많은 청중에게 어필한 것은 이들이 청중과 공통의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해 청중의 일상을 묘사하거나, 익숙한 관행을 언급하거나, 일부러 방언을 사용하는 등 청중의 '편견'에 호소한 덕분이다. 이러한 정황 내지는 배경 지식을 무시하고 연설을 했다면 청중에게 어필하지 못하고, 연설을 통해 전하고자 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실패했을 가능성이 높다.



'편견에 대한 편견'은 또한 앎이나 배움에 대한 의지를 저해할 수 있다. '지혜에 대한 사랑', '알고자' 하는 욕망은 인간에게 내재된 본능이며, 이러한 본능을 집요하고 끈질기게 추구하는 것은 '모든 것의 근거와 배경을 이해하는' 노력과 다르지 않다. 편견을 없애기 위해 억지로 모든 것이 똑같고 아무런 배경지식이 없는 상태를 만들기보다, 어떤 편견이 존재하며 그러한 편견은 왜, 어떻게 생겼는지 이해하는 것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저자의 주장은 귀기울여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