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필 다이어리 - 철학자와 영화의 만남 시네필 다이어리 1
정여울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나는 영화를 그다지 좋아하지도 않고 즐겨보는 편도 아니라서 '1년에 영화 10편 이상 보기'를 목표로 정할 정도인데, 영화 이야기만큼은 좋아해서 가끔 라디오나 팟캐스트로 영화 소개하는 코너를 듣거나 영화에 관한 책을 찾아 읽곤 한다. 특히 영화 평론가 이동진 님과 씨네21 김혜리 기자님이 들려주는 영화 이야기를 참 좋아하는데, '이동진의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방 이후 두 분의 영화 이야기를 들을 길이 없어 아쉽다.  



<시네필 다이어리>는 문학 평론가 정여울이 철학의 관점으로 영화를 분석한 글을 엮은 책이다(리뷰 쓰려고 보니 2009년 7월부터 알라딘 창작블로그에 연재된 글을 모아 만든 책이라고 한다). 정여울이 영화라니. 의아해하며 읽기 시작했는데 의외로 좋았다. 텍스트로 소개된 영화는 <색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굿 윌 헌팅>, <시간을 달리는 소녀>, <쇼생크 탈출>, <순수의 시대>, <뷰티풀 마인드>, <원령공주> 등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작품이 대부분. (영화 잘 안 보는) 내가 본 영화도 절반이 넘는다. 이 유명한 영화들을 롤랑 바르트, 조지프 켐벨, 수잔 손택, 질 들뢰즈, 프리드리히 니체, 피에르 부르디외, 칼 융, 가스통 바슐라르에 빗대어 소개하니 어찌나 생경하던지. 그 중에서도 질 들뢰즈와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만남은 압권이다.



헛되이 보내버린 이 시간 안에 진실이 있다는 것을 마지막에 가서 우리가 깨닫게 되는 것, 그것이 바로 배움의 본질적인 성과이다. _ 질 들뢰즈, 서동욱, 이충민 역 <프루스트와 기호들>, 민음사, 47쪽


내가 알지 못하던 그 시간의 '의미 없는' 파편들이 이제 저마다 절실한 의미를 품어 안고 다시 내 안에서 깨어난다. 그녀는 이 생의 마지막 타임 리프로 인해 단지 시간을 돌린 것이 아니라 치아키의 마음이 되어, 치아키의 눈이 되어, 자신들이 걸어온 시간을 다시 되짚는다. 그녀가 자신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기 위해 만난 것은 잃어버린 타인이었다. 타인의 시간을 되찾는 것이 곧 그녀의 시간을 되찾는 것이었다. (p.208)



같은 영화, 같은 작품을 보고도 더 많은 것을 '보고' 느끼는 사람을 보면 부럽다. 게다가 이렇게 빼어난 글까지 쓰다니! 마르지 않는 샘처럼, 계속 읽어도 계속해서 좋은 문장, 좋은 글을 보여주는 정여울 작가가 참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