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K의 마음문제 상담소 - 사상체질로 읽는 나와 우리 가족 마음 이야기
강용혁 지음 / 북드라망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마음문제 상담소'라고 해서 심리학 책인 줄 알았는데 저자가 한의사라서 한 번 놀랐고, 한의학으로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걸 알고 두 번 놀랐다. 저자는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 이제마가 발표한 사상의학에 근거해 한국인의 심리와 정서적 갈등을 진단하고 처방한다. 사상의학 하면 사람을 외모나 체형을 기준으로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으로 구분하고 이에 맞게 음식이나 약을 처방하는 학문인 줄 알았는데, 저자에 따르면 인간의 신체가 아닌 정신, 체질이 아닌 기질에 주목하는 학문으로, 한의학보다는 오히려 심리학에 가깝다고 한다. 이제마가 프로이트, 융과 동시대를 산 학자라는 사실도 흥미로운데, 이제마의 '태양/소양/태음/소음' 구분이 융의 '직관/감정/감각/사고' 개념과 일치되는 측면이 많다니 흥미롭다. 


저자에 따르면 기질의 차이가 성격의 차이를 낳고 체질과 체형을 형성한다. 태양인은 직관, 소양인은 감정, 태음인은 감각, 소음인은 사고를 중시한다. 똑같이 허리디스크 증상을 호소해도 '이런 병이 왜 생겼을까?' 생각부터 하면 소음인, 예전에 산후조리를 못해서 그런 것 같다고 감각으로 짐작하면 태음인, 전적으로 의사의 판단에 맡기면 소양인이다. 여성지나 인터넷에 떠도는 '소양인은 어깨가 넓고, 태음인은 배가 나와 뚱뚱하고, 소음인은 키가 작고 단아하다'는 식의 정보는 지엽적이고 단편적인 선입견이다. 배가 나와 뚱뚱해도 사고 기능이 발달했으면 소음인이고, 키가 작고 단아해도 감각이 발달했으면 태음인이다. 겉으로 드러나는 성격이 비슷해도 정신 기능이 다르면 기질이 다르다. 똑같이 내성적인 성격이라도 주변 분위기에 맞추려는 것이면 소양인, 남에게 예의를 지키려는 것이면 태음인, 자기 생각에 빠져 있는 것이면 소음인이다. 사상의학으로 인간의 심리를 파악하고 마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니 신기하다. 더 공부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