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페티시즘 - 욕망과 인문의 은밀한 만남
이원석 지음 / 필로소픽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나는 평소 분야나 장르를 가리지 않고 '잡독'하는 편이지만 인문학과 자기계발이 결합된 책은 학문의 정수인 인문학을 한낱 자기계발의 도구로 이용하는 발상이 거북해 꺼린다. 왜 나는 인문학과 자기계발의 만남이 거북한 것일까? <인문학 페티시즘>을 읽고 그 이유를 자세히 알 수 있었다. 중앙대에서 문화이론 전공으로 박사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저자는 강신주를 비롯한 인문학자의 아이돌화 현상부터 인문경영, 자기계발 열풍, 다독, 책 쓰기 과열, 대학의 몰락, 학습 모임의 부흥 등 현재 한국 사회 각 분야에서 인문학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현상을 이 책에 낱낱이 분석했다. 



현재의 상황을 냉정히 보자면, 인문학이 우리의 삶을 바꾼다기보다 인문학이 자기계발의 주요 방편이 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우리 사회에서 인문교양은 우리의 스펙을 늘려주는 훌륭한 문화적 액세서리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이는 다른 이들과 거리를 벌리기 위한, 구별짓기(distinction)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p.10)



저자에 따르면 노동을 하지 않아도 되는 유한 계급을 위한 자유인의 학문(Liberal Arts)으로서 탄생한 인문학이 자기계발과 실용성에 목마른 현대 대중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활용되는 것부터가 모순이다. 대학 강단을 벗어나 대중을 상대로 강연하는 일군의 인문학자들이 시장에서 소비되는 작태와, 이들을 강사로 초빙해 만드는 인문학 프로그램, 고위경영지도자 과정이 어색해 보이는 이유도 이와 같다.


인문학이 출판계에서 소비되는 실태는 더욱 참담하다. 최근 몇 년 동안 소위 인문경영이라고 해서 인문학과 경영학을 접목시키거나, 고전 읽기나 인문학 공부를 자기계발서의 콘텐츠로 쓴 책이 많이 나왔다. 나도 그런 책을 여러 권 읽었는데, 인문과 경영 그 어느 쪽으로도 제대로 된 교훈을 얻은 적이 없었고, 외길로 공부해도 힘든 고전과 인문학을 어쭙잖게 활용한 것이 불편할 뿐이었다. 그 어떤 산업 분야보다 인문학의 쓰임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출판계에서조차 인문학이 매출을 올리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것이 안타깝다.


독서와 책 쓰기를 자기계발과 연결시키는 책은 말할 것도 없다. 나 또한 자기계발의 일환으로서 책 읽기를 하는 면이 없지 않지만, 오로지 자기계발만을 위해 독서를 하는 것에는 반대한다. 언젠가 책을 쓰고 싶다는 꿈도 있지만,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고 여기는 대중의 자책과 책을 써서 유명해지고 싶고 돈도 벌고 싶은 욕망을 이용해 책 쓰기를 권유하는 책을 보면 어디 가서 책 쓰고 싶다고 말하기가 민망하다. 역으로 어떤 책을 쓰지 않아야 하는지 나쁜 예를 알려주니 고맙다고 해야 할까.



인문이 자유인의 학문이던 시대는 갔다. 그때는 철저한 비실용성을 전제했다. 잉여로운 시간을 교양 추구로 채우던 시절은 지나갔다고 일갈하였다. 이것은 결코 문교양이 철저한 실용성을 획득하게 되고만 현실에 대한 한탄이지, 인문학 그 자체의 가능성에 대한 좌절은 아니다.


인문학 자체의 비실용성은 명백하게 비현실성을 의미한다. 현실 유지보다 현실 초월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자면 현행 세상을 넘어 다른 세상을 갈망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인문학은 마르쿠제가 말한(지금 세상을 떠받치는 평면적 이데올로기에 속박되어 살아가는) 일차원적 인간의 처지를 벗어나게 해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다른 세상의 신선한 공기를 맡을 수 있게 해준다. (pp.216-7)



그렇다면 인문학은 왜 배워야 하며, 우리는 인문학을 어떻게 소비하고 활용해야 할까? 저자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않지만, 후기에 저자가 스티븐 킹의 소설이 원작인 영화 <쇼생크 탈출>을 예로 들며 인문학은 '교양을 통한 현실 초월과 해방'을 가능케하는 수단이라고 설명한 대목을 읽으며 나는 이것이야말로 인문학의 쓸모라고 생각했다. 같은 영화를 보고도 단순히 '재밌다', '멋있다'고 느끼는 사람과 저자처럼 자신만의 관점으로 관찰하고 풍성하게 해석할 줄 아는 사람 - 둘 중 누구의 인생이 더 재미있고 풍요로울까. 이것이야말로 비용 대비 효과가 큰 투자이며, 인생의 부자가 되는 길이 아닐까. 오늘 밤엔 사놓고 오랫동안 읽지 않은 '진짜 인문학' 책을 들춰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