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열 명이 있으면 그 중에 세 명은 나를 좋아하고, 세 명은 나를 싫어하고, 나머지 네 명은 나한테 관심이 없다는 말이 있다. 이 말에 따르면, 나답게 사는 사람은 적어도 세 명의 친구는 남길 수 있다. 반대로 나답게 살지 않고 열 명 모두의 마음에 들려고 애쓰는 사람은 나를 좋아하던 세 명까지 놓치고 홀로 남게 된다. '미움받을 용기'가 있어야 사랑받을 수 있는 것이다.

 

 

<미움받을 용기>는 프로이트, 융과 함께 '심리학의 3대 거장'으로 불리는 알프레드 아들러의 사상을 일본의 철학자 기시미 이치로가 해석해 '청년과 철학자의 대화'라는 형식으로 엮은 책이다. 서양고대철학 연구자답게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을 활용해 비전공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는 아들러 심리학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시킨 점이 인상적이다. 아들러에 관한 책을 최근에 한 권 읽은 참인데도, 이 책을 읽으면서 둘의 대화를 통해 아들러 심리학의 양면을 고루 살피고, 자칫 어려울 수 있는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좋았다. 

 

 

아들러 심리학은 크게 목적론과 공동체 감각이라는 두 가지 특징으로 나뉜다. 먼저 목적론은 과거의 경험 안에서 목적에 맞는 수단을 찾아내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심리적 태도를 일컫는다. 프로이트를 비롯한 기존의 심리학자들은 과거의 사건이 현재의 성격이나 행동, 생활 양식 등을 야기한다고 보는 인과론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대해 아들러는 과거의 원인에 주목해서 상황을 설명하면 모든 이야기는 저절로 '결정론'에 도달한다고 비판하며, 과거에 지배받지 말고 '지금 여기'에 충실하라고 조언했다.

  

 

그런 아들러가 인간관계의 목표로 본 것은 공동체 감각이다. 아들러는 타인을 친구로 여기고 사회에 적극적으로 공헌하는 공동체 감각이 뛰어난 사람이야말로 바람직한 인간상으로 보았다. 반대로 자신이 '남에게 어떻게 보이느냐'에만 집착하는 사람은 '나' 이외에는 관심이 없는, 즉 자기중심적인 인간이라며 비난했다. 열 명 모두의 마음에 들려고 노력하다가 다 놓치지 말고 좋아하는 세 명이나 잘 챙기라는 말은 우스갯소리가 아니라 아들러 심리학으로 보아도 일리가 있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