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공부 - 사랑을 알아가는 42가지 방법
김혜성 지음 / 피톤치드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껏 나는 사랑이라고 하면 연인이나 부부 사이의 애정을 떠올렸다. 사랑하는 사람 없다고, 사랑 안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것이 사랑의 전부일까? 김혜성의 <사랑 공부>를 읽으며 부모와 자식, 형제와 자매, 친구와 동료 사이에도 사랑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다. 직접 만나본 일 없는 연예인이나 오래 전에 세상을 떠난 위인에 대한 동경, 애완 동물이나 예술 작품에 대한 애정 또한 넓게 보면 사랑이라는 것을 알았다. 즉, 애인이 없고 결혼하지 않았다고 사랑하는 사람 없고 사랑 안 하는 것은 아닌 셈.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롭고 쓸쓸하다고 느끼는 건 왜 때문일까.


<사랑 공부>의 저자 김혜성은 사랑을 하기에 앞서 공부부터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사랑까지 공부해야 하는 세상이라니. 답답하긴 해도 저자의 의도가 이해되지 않는 건 아니다. 사랑(Love)과 생명(Life), 관계(Line)를 프로듀스하는 국내 제 1호 LPD인 저자는 사랑이란 비단 연애나 결혼만을 뜻하지 않는다고 역설한다. 사랑은 본질적으로 '내 안에 있는 사랑'에서 출발하며, 연애와 결혼, 그밖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사랑은 결국 내 안에 있는 사랑을 찾아 발견하고 실천하고 갈고닦는 노력으로부터 발현된다고 한다. 저자는 그 가이드로서 독자가 생각해 볼 만한 사랑의 정의와, 직접 실천해볼 수 있는 사랑 찾기, 사랑 실천법, 사랑의 과제 등을 이 책에 담았다. 

  

저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을 강조한다. 자기를 사랑한다고 하면 제 멋에 취한 나르시시스트다, 자기밖에 모르는 에고이스트다, 라고 비난할지 모른다. 하지만 진정한 사랑은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된다. 저자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으로 '행복한 이기주의자'가 될 것을 제시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주변 사람들이 먹고 싶은 찌개 대신 내가 먹고 싶은 스파게티 먹기, 값싼 믹스 커피 대신 비싸도 맛좋은 브랜드 커피 마시기 등이다. 먹고 싶은 밥 사먹고 커피 마시는 게 무슨 사랑인가 싶겠지만, 자기 자신을 위해 맛있는 밥 한 끼, 커피 한 잔 살 줄 모르는 사람이 남에게 사줄리 만무하다. 나를 사랑해야 남을 사랑할 수 있고, 남도 나를 사랑할 수 있다.


이밖에도 하루 종일 걷기, 책 읽기, 청소하기, 찜질방 가서 하루 종일 놀기, 산 오르기, 지난날 정리해 보기, 맛집 탐방하기 등 나를 사랑하고 새로운 나를 만날 수 있는 방법이 다수 소개되어 있다. 사랑이란 그저 나를 희생하고 남에게 봉사하는 것으로만 알았던 내게는 새로운 발견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