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 천연균과 마르크스에서 찾은 진정한 삶의 가치와 노동의 의미
와타나베 이타루 지음, 정문주 옮김 / 더숲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의 저자 와타나베 이타루는 일본의 오카야마라는 지방 도시에서도 역에서 전철로 두 시간 넘게 걸리는 산 속에서 '다루마리'라는 이름의 빵집을 운영하고 있다. 그의 빵집은 인공적으로 배양한 균대신 천연균으로 만들어 발효시킨 빵만 판다. 값도 비싸고 천연균 특유의 시큼한 맛도 나지만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일주일에 사흘은 휴무, 매년 한 달은 장기 휴가로 문을 닫는데도 말이다.



평범한 직장인이었던 그가 시골빵집을 연 계기는 다름아닌 마르크스의 대표 저작 <자본론>이다. 대학 농학부 졸업 후 농산물 도매회사에 취직한 그는 온갖 부정과 비리를 목격하고 충격에 빠졌다. 그런 그에게 아버지는 <자본론>을 읽어보라고 권했다. <자본론>을 읽으면서 그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의 원인을 파악했고, 자본가에게 잠식되지 않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스스로 생산수단을 소유해 노동자가 되지 않는 수밖에 없겠다고 생각했다. 그 방법으로 그는 빵을 택했고, 몇 년에 걸친 노력끝에 노동자와 자본가, 소비자, 환경이 공생할 수 있는 빵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처음엔 부패니 효모니 하는 이야기도 어렵고, <자본론>이라는 소재도 시대착오적인 것 같아 읽기를 주저하기도 했다. 막상 읽어보니 설명이 생각만큼 어렵지 않았고, 전부 저자의 체험에서 비롯된 이야기라서 생동감 있고 재미있었다. 무엇보다도 부패에 대한 저자의 해석이 인상적이었다. 현대 사회는 썩거나 부패한 것을 경멸한다. '정치가 썩었다' 라든가 '부패 경찰', '부패 조직' 같은 말의 뉘앙스가 좋지 않은 것만 봐도 그렇다. 반면 저자는 썩거나 부패하는 것은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현상이며, 오히려 썩지 않고 부패하지 않는 것이 문제가 된다고 말한다. 유통기한이 일주일이 넘었는데도 썩지 않는 식빵, 제조일로부터 1,2년이 지나도 멀쩡한 라면이나 과자따위를 먹는 현대인에게는 충격적인 주장이다.



이제 폐기된 것이나 다름없는 <자본론>의 내용을 이데올로기가 아닌 삶의 원칙 내지는 철학으로 받아들인 점도 인상적이었다. 저자가 마르크스가 말한 노동자, 자본가, 생산수단같은 개념을 자신의 삶에 적용시켜 스스로 노동자에서 자본가로 변신하고 생산수단을 소유하기 위해 노력한 과정은 오늘날의 노동자 및 프리랜서, 1인 기업가들에게도 의미있는 사례다. 저자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2011년 대지진 이후 기존의 사회 시스템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삶의 철학을 추구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어떤 모멘텀이 있어야 이런 변화가 가능할까? 사뭇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