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자를 위한 우리말 공부 - 한국어를 잘 이해하고 제대로 표현하는 법
이강룡 지음 / 유유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과 글쓰기와 의사소통 전반을 통틀어 우리는 언제나 좁은 문으로 가야 한다. "나쁨은 쉽게 취할 수 있지만 훌륭함을 얻는 길은 멀고 가파르다"라고 말한 소크라테스와 그 말을 그대로 옮겨 적은 플라톤의 의도도 그러하다. 많은 사람들을 좇아 틀린 표현을 속 편하게 쓰면 그는 넓은 문으로 향하는 번역자다. 많은 사람들이 자주 쓰더라도 틀린 건 틀린 것이며 귀찮고 불편하더라도 이를 극복하며 자신부터 제대로 쓰겠노라 결심하고 실천한다면 그는 좁은 문으로 가는 번역자다." (p.53)


지난 8월 22일 <번역자를 위한 우리말 공부> 이강룡 저자의 강연회에 참석했다. 가는 길에 지하철에서 예습 삼아 이 책을 읽고, 강연 후 복습 삼아 이 책을 읽었으니 강연까지 포함해 도합 세 번은 읽은 셈이지만, 여러 번 읽었다고 해서 내용을 다 아는 것은 아니요, 읽은 대로 실천하고 있는 것은 더욱 아니다. 오히려 아는 대로 행동해야 하는데 하는 부담만 팍팍. 그래도 알면서 반성하는 것이 전혀 모르고 사는 것보다는 낫겠지 하고, 자기 위로를 해본다. 총 6장으로 된 이 책은 글 고르기, 용어 다루기, 맥락 살피기, 문장 다듬기, 문법 지식 갖추기, 배경지식 활용하기 등 제목만 보면 고루한 글쓰기 책같지만 저자의 경험과 널리 알려진 글에서 비롯된 사례가 풍부하여 읽기 쉽고 이해도 잘 된다. 


번역 하면 외국어를 우리말로, 우리말을 외국어로 바꿔서 쓰는 게 전부라고 오해하지만 실제로 해보면 해석보다 나은 수준을 넘어서기 어렵다. 나는 대학교 1학년 때 번역을 아르바이트로 처음 시작했는데, 그 때 한 번역을 지금 보면 부끄럽기 그지 없다. 번역이 외국어를 잘한다는 이유만으로 덤빌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걸 그때는 왜 몰랐을까. 이 책을 읽었다면 글자 표기와 맥락, 문장 간의 호응 등을 예리하게 따지고 섬세하게 고치는 것은 물론, 좋은 글을 골라 읽고 번역하는 눈도 일찍 길렀을 것이다. '좁은 문' 대신 '넓은 문'을 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다짐하거나 뻗대지 않고 묵묵히 근거를 마련하여 보여주는 그런 글은 무척 단단하고 훌륭하리라"는 저자의 말처럼, 정확히 알고 직접 실천해본 것만을 글로 쓴다면 글도 삶도 알차질 것이다. 


무엇보다 간절한 것은 글과 일치되는 삶을 사는 것이다. 그러고보면 나는 참 다짐하는 글을 많이 쓴다. 책을 읽으면 몇 가지 다짐을 하게 되는데 그 중 실천하거나 꾸준히 이어가는 것은 별로 없다. 강연 때도 판단이나 주장보다 근거가 많은 글을 쓰라는 말씀을 듣고 그러리라고 다짐했건만, 여태껏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알면서 반성하는 것이 전혀 모르고 사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라는 자기 위로도 이제 그만둬야 할 때가 온 것일까. 번역보다도 글쓰기가, 글쓰기보다도 제대로 사는 일이 참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