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도 학교가 두렵다 - 교사들과 함께 쓴 학교현장의 이야기
엄기호 지음 / 따비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민학교 2학년 때의 담임은 정말 돈을 밝히는 교사였다. 그는 공부는 잘하지만 단칸 셋방에 사는 통에 촌지를 바칠 여력이 되지 못하던 나를 많이 미워했다. 학생들의 선거로 반장이 되었지만 그는 끊임없이 나를 괴롭히고 모욕했다. 심지어 다른 학생들 앞에서 나를 모욕하며 저런 '나쁜 어린이'가 되지 말라는 말도 했었다. 울며 집에 돌아온 나를 본 어머니는 며칠 후 화장품을 사서 담임을 찾아가셨다. 나는 아직도 그날을 똑똑히 기억한다. 어머니가 돌아간 다음 그 교사는 "누가 국산 화장품을 쓴다고......" 하면서 어머니가 놓고 간 화장품을 쓰레기통에 처박았다. (p.7)



이 이야기는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의 저자 엄기호가 서문에서 밝힌 경험담이다. 이 책을 읽다보니 학창시절의 안좋은 기억들이 스멀스멀 떠올랐다(평소에도 시도때도 없이 떠올라 날 괴롭히는 기억들이기도 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벌써 십 년 가까이 되었건만, 내가 다니던 때의 학교와 지금의 학교는 별로 달라진 게 없는 모양이다. 책의 1장 <교실이라는 정글>을 보면 수업을 듣지 않고 널브러져 있는 아이들, 입시에 도움이 되는 수업만 골라 듣는 아이들의 이야기부터 학교 폭력, 교사와 학부모 간의 갈등 문제가 나오는데 내가 고등학생이었던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학교 폭력이나 왕따는 다행히도 목격한 일이 없다. 하지만 내가 모르는 곳에서 벌어지고 있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2장 <교무실, 침묵의 공간>과 3장 <성장 대신 무기력만 남은 학교>의 내용들은 처음 보는 것이 많았다. 내가 지금 교사도 아니고, 교대나 사범대를 나온 것도 아니고, 무엇보다 교사의 교, 선생의 선 자만 들어도 치를 떨 만큼 관심도 없다보니 권위적인 교직 내 분위기, 선후배, 동료 교사 간의 갈등 같은 일은 알 길이 없었던 탓이다. 구세대 교사들과 신세대 교사들의 갈등은 어렴풋이 이해가 된다. 저자가 지적한대로 최근 임용되는 교사들은 수능 성적 상위권이고 (수능 성적이 좋게끔 사교육을 받을 수 있었을 만큼) 가정 형편도 좋다. 내 친구들 중에도 교대, 사범대를 나왔거나 하다못해 교직이수를 한 친구들은 대개가 그렇다. 게다가 이런 친구들은 대학 시절에도 임용 준비를 하느라 색다른 경험을 하거나 교대, 사범대 출신 외의 사람들을 만나는 일이 별로 없다. 그런 아이들이 소위 말하는 문제아, 꼴통을 이해할 수 있을까? 나는 아니라고 본다. 그런 선생들이 있는 학교에 나는 내 아이를 보내고 싶지 않다. 내가 겪어본 구세대 교사들은 더더욱 싫다. 아직 아이는커녕 결혼도 안 했지만, 가능하다면 대안학교에 보내거나 홈스쿨링을 하고 싶은 심정이다. 



그런데 이게 비단 교사들만의 문제일까?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김두식 교수가 <불멸의 신성가족>에서 지적했듯이 사법부에서도 그럴 것이고, 행정부, 의학계, 학계 등 점점 엘리트화, 세습화, 경직화, 폐쇄화되는, 소위 말하는 '순혈집단'에서는 공통적으로 벌어지는 현상이라고 본다. 우리나라 엘리트 중에서도 엘리트라고 할 수 있는 사법부와 의학계가 폐쇄적, 경직적인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직업 또는 직위가 할아버지에서 아버지, 아버지에서 아들로 세습되고, 다른 분야, 다른 계층의 인간들과 전혀 소통이 없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 이후에는 그런 현상을 행정부, 학계가 겪었고, 이제는 철밥통으로 불리는 교사, 공무원 또는 대기업이 겪고 있다. 고인 물은 썩는다. 다양성이 없는 집단은 환경의 변화에 쉽게 망한다. 사법부, 의학계의 병폐, 행정부, 학계의 폐단을 생각한다면, 앞으로 교사, 공무원, 대기업 임원 집단이 어떤 문제를 낳을지는 뻔하다. 그들은 각종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것이며, 사람들은 그들을 욕하면서도 자기 자식들은 거기에 집어넣으려고 갖은 애를 쓸 것이다. 사법부, 의학계를 욕하면서 제 자식은 판검사, 의사가 되기 바라고, 정부와 교수 사회를 욕하면서 제 자식은 고시에 패스하고 교수가 되기 바라며, 이제는 학교라면 치를 떨었던 사람들이 제 자식을 교대에 보내 선생 만들려고 하고, 공무원, 대기업 직원이 되기를 바라는 것처럼 말이다. 이런 악순환을 끊는 곳이었어야 할 학교는 악순환을 만드는 곳이 되었고, 이제는 그 자체가 악순환에 편입되었다. 그동안의 악순환이 점점 더 확대되고 심화될 것이 분명하다.



학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정을 벗어나 처음으로 만나는 사회다. 학교에 대한 기억이 대부분 좋지 않다는 것은 개인으로서는 비극이고 사회적으로는 큰 손해다.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 두렵다면 좀 제대로 했으면 좋겠다.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내 아이를 아무 걱정없이 학교에 보낼 수 있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