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Startup 글로벌 스타트업 메뉴얼
원아시아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미국에서는 하버드 대학교를 비롯한 명문대 졸업생 중 다수가 취업 대신 창업을 선택할 정도로 창업을 장려한다고 한다. 실제로 모 미국 대기업의 임원직에 오른 한국인은 한국 기업에 재직한 경력보다 짧게나마 창업을 했던 경력이 미국 대기업 취업시 큰 장점이 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제는 '취업 보다 창업'이라는 구호가 심심찮게 들릴 만큼 창업에 대한 시선이 긍정적으로 바뀌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차가운 시선으로 보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알고 있는가? 수많은 사람들이 취업하기 위해 목을 매는 대기업들도 누군가가 '창업'한 회사라는 것을 말이다.



<비욘드 스타트 업 - 글로벌 스타트업 매뉴얼>은 새로 시작하는 창업 기업, 즉 스타트 업(start-up) 기업들을 위한 매뉴얼 같은 책이다. '매뉴얼'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게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부터 구체화하는 방법, 팀 구성, 자금 조달, 출구 전략 등 창업의 단계가 마치 교과서 내지는 설명서처럼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마지막 장에는 미국과 동남아시아에 기반을 둔 기업들 또는 기술 기반 사회적 기업의 참고사례를 소개하여 신빙성을 더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과 창업경진대회 같은 창업 기회 및 해외에서의 회사설립절차 같은 법, 제도적인 자료까지 첨부되어 있어서 창업의 '창'자도 모르고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실무적인 도움을 주는 책이 될 것이다.



이 책에서 권장하는 것 중 하나는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에서의 창업이다. 개발도상국은 전 세계 GDP 성장에서 74퍼센트를 차지하고, 신흥시장의 주요 440개 도시가 전세계 GDP 성장의 50퍼센트를 차지할 만큼 성장 비중이 높다. 그러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에는 여전히 경제 발전 격차가 존재하고, 기술, 서비스 등 여러 분야에서 신기술이 도입되고 확충될 수 있는 여지가 높다. 저자는 이에 근거해 "스타트업을 하고 싶다면 선진국에서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신흥시장에서 창업하는 것을 권"한다. (p.17) 국내경제는 물론 세계경제가 전반적으로 불황이라고 불릴 만큼 호재가 없지만 신흥시장은 다를 수 있다. 창업을 생각한다면 국내뿐 아니라 신흥시장, 개발도상국에 눈을 돌려보는 것은 어떨까? 호재가 없다면 호재를 만드는 것도 창업자의 성공 비결이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