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치매 - 머리를 쓰지 않는 똑똑한 바보들
만프레드 슈피처 지음, 김세나 옮김 / 북로드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디오가 고장났다. 아침저녁으로 영어 공부를 위해 듣던 EBS라디오와 AFKN 방송도 못 듣고, 낮에는 배경음악 삼아 듣던 FM방송도 못들으니 그야말로 고역이다. MP3 플레이어는 어머니께 빌려드렸고, 그 흔한 스마트폰도 없고, 하루종일 컴퓨터를 켜놓을 수도 없는 노릇. 갑작스런 적막도 당황스럽지만, 기계 하나 때문에 생활이 전에 비해 확연히 단조로워졌다는 사실이 황당하다.


라디오 하나 없다고 이런데, 컴퓨터나 휴대폰이 갑자기 없어지거나 고장난다면 얼마나 힘들까. <디지털 치매>를 읽으면서 남 이야기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디지털 치매>의 저자 만프레드 슈피처는 현재 독일 울름에 있는 대학정신병원의 병원장 및 신경학센터 소장을 역임하고 있는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뇌 연구가이자 <정신과 뇌>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진행자다. 책에서 저자는 컴퓨터와 인터넷, 스마트 기기 등이 보급되면서 인간의 지능과 기억력이 감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현상을 '디지털 치매'라고 일컬었다. 놀랍게도 '디지털 치매'라는 용어는 저자가 처음 제시한 것이 아니라 한국이 원조다. "세계적으로 정보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의 의사들은 이미 5년 전에 기억력 장애, 주의력 결핍 장애는 물론, 감수성 약화를 겪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점점 늘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이러한 질병 양상을 '디지털 치매'라고 불렀다." (p.7) 세계적인 정보기술 강국인 우리나라가 디지털 치매로도 '강국'이라니, 웃어야할지 울어야할지 모르겠다.


디지털 치매의 한 예로 저자는 직접 겪은 사례를 소개한다. 학자로서 저자는 어린 학생들이나 대학생들에게 이메일을 자주 받는데, 그 중에는 "뇌는 어떻게 기능합니까?" 와 같은, 마치 구글 검색을 이용하듯이 저자의 답변을 요구하는 내용의 글이 상당수 있었다. 이러한 예를 통해 저자는 오늘날의 학생들에게 배움이란 무엇인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의 내용이란 대체 무엇인지 추궁한다. "누군가가 자신을 산 정상에 올려놔주는 것으로 등산하는 방법을 배운다는 것이 말이 되지 않는 것처럼, 학생이 전문가의 생각을 묻는 것만으로 전문가가 될 수는 없다. 지식의 본질을 자기 것으로 하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어 의문을 제기하면서 파고들고, 퍼즐의 작은 조각들을 의미 있는 하나로 완성해나가는 것, 이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기 위해서는 반드시 직접 해봐야만 한다." (p.21)


저자는 책에서 단순히 디지털 기기가 나쁘다고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를 비롯하여 인류의 학습, 커뮤니케이션 도구 전반에 관한 고찰을 통해 주장을 뒷받침한다. 의학적, 과학적 자료도 풍부하게 첨부하여 신빙성을 높였다. 문제는 책이나 학술지에서나 이런 주장이 제기되지, 사람들이 자주 보는 TV나 인터넷에서는 이러한 논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컴퓨터와 스마트 기기를 판매하는 기업들로부터 후원을 받는 방송사, 인터넷 기업이 그러한 주장을 할 리가 없다. 게다가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잃고 멍청해질수록 기업가와 정치가는 유리한 법. "이들(디지털 미디어)의 약속은 예전 기계들과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료들은 끔찍하기 그지 없다. 그런데도 시장은 디지털 미디어를 갈수록 더욱 찾고 있다. 만약 우리가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면, 왜 정치인들과 교육학자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가?" (p.103)


"학교에서 디지털 미디어 사용률이 가장 높은 국가인 한국의 경우, 2010년에 이미 학생들의 12퍼센트가 인터넷에 중독되었다. 한국에서 '디지털 치매'라는 표현이 나오게 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그만한 값을 이미 치른 것이다." 디지털 기기가 지능과 기억력에 미치는 악영향에 관한 글을 읽을 때마다 섬뜩한 기분이 든다. 요즘은 카페, 레스토랑 등 어딜 가도 사람들이 스마트 기기를 들여다보고 있다. 심지어는 걸어다니면서, 운전하면서도 본다. 그들 모두 직장이나 가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을 터. 그런 사람들의 뇌의 능력이 점점 떨어진다면 우리 사회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아찔하기 그지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