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판이 스펙이다 - 보이지 않는 강력한 이력서, 평판의 힘
아이하라 다카오 지음, 박재현 옮김 / 더난출판사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지인에게 나에 대한 인상을 물어보는 앱이 있다고 한다.
스마트 기기가 없는 관계로 사용해본 적은 없지만, 어떤 앱인지 궁금하다.
왜 현대인들은 자신에 대한 평가를 궁금해 하는 것일까?
자의식의 발로일까? 아니면 그저 내가 남들에게 어떻게 보이는지가 궁금한 것일까?

 

<평판이 스펙이다>를 읽으며 '평판'이라는 말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평판이란 쉽게 말해 '남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를 뜻하는 말이다.
개인의 출신 배경을 중시하던 과거와 달리 현대에는 능력이나 개성, 자질을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는 사회인지라'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는 꽤나 신경쓰이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한 발 더 나아가 이 책의 저자 아이하라 다카오는 바로 이 평판이 때로는 능력이나 개성, 자질보다도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현재 주식회사 HR어드밴티지 이사로 재직중이며,

일본생산성본부, 일본비즈니스스쿨 등에서 강연한 경력이 있는 인사 전문가이다.
그는 직접 경험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인재를 발굴하는 방법으로 평판만큼 믿을만한 것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책에는 성과나 능력보다도 평판이 중요한 이유와 평판을 관리하는 방법이 다양한 사례와 함께 제시되어 있다.

 

성과보다 평판이 중요한 이유는 누구라도 쉽게 떠올릴 수 있다.
비슷비슷한 지원자들이 있다면, 그중에서 기왕이면 남이 추천해준 사람을 뽑는 것이 사람의 심리다.
괜히 잘 모르는 사람을 택해서 리스크를 높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인맥, 지연, 학벌 - 이런 말을 하는 것이다.
불공정하다고 느껴지지만, 나라면 어떨까?
그것이 심리라면 어쩔 수 없다는 생각도 든다.

 

책의 후반부에는 평판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평판을 관리하는 방법이라고 해서 크게 특별한 것은 없다.
인사를 잘 하고, 유머를 잘 구사하고, 부정적인 말은 삼가고, 질문을 자주 해서 관심을 드러내는 등
인간관계를 좋게 만드는 기본적인 방법들은 평판 관리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다만 '평판은 얻는 것이 아니라 지켜내는 것이다' 라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나쁜 소문만 안 나도, 안 좋은 모습만 안 보여도, 호감까지는 안 되도 비호감은 면할 수 있다.
인사 전략, 인재 관리라는 것이 정말 뛰어난 사람을 고른다기 보다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기술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평판 관리라는 것은 결국 남이 나를 고를 때 리스크가 적게끔 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가령 아무리 외모가 멋지고 실력 있는 연예인이라도 스캔들이 많고 대중적으로 호감이 높지 않으면 캐스팅 되기 어려울 것이다.

 

개인의 평판 관리도 마찬가지.
너나 할 것 없이 스펙을 올리다보니 스펙에 별 차이가 없게 된 것처럼,
평판도 스펙이라면 남보다 뒤처지지 않게만 관리하는 것이 기술이고, 비법이 아닌가 싶다.

(물론 그게 가장 어려운 것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