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의 결정은 어떻게 내려지는가 - 소통으로 조직을 살린 12개의 위대한 이야기
토머스 대븐포트.브룩 맨빌 지음, 김옥경 옮김 / 프리뷰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이 있다. 어떤 일에 관여하는 사람 수가 많을수록 일을 망치기 쉽다는 뜻이다. 서양에도 비슷한 뜻의 '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요리사가 많으면 국을 망친다)'라는 속담이 있다. 예부터 비슷한 인식이 동서양에 공유되고 있었던 모양이다.

 

사람이 많으면 일을 그르치기 쉽다는 인식은 정치체제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옛날에는 왕이나 황제 1인 또는 소수의 정치지도자 집단(다두제 등)이 결정 권한을 독점하고 일부 군신이 참여하는 형태로 국가의사가 결정되었다. 현재는 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민주정인데 국민 전체가 국민투표로 국가의사를 경정하는 나라(예를들면 스위스)가 있기는 하지만 극히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나라들은 대의제를 통해 국민의 대표를 선출하여 그들이 국가의사를 결정하도록 위임하는 형태이다. 옛날과 비교하면 의사결정권자의 숫자가 대폭 증가한 것은 분명하지만, 국민 전체의 숫자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비율이라고 볼 수 있다.

 

토머스 대븐포트와 브룩 맨빌이 쓴 <최선의 결정은 어떻게 내려지는가>는 이러한 전통적인 인식과는 달리 리더 한 사람이 내리는 결정보다 다수의 조직원이 참여하는 결정이 낫다는 주장이 담긴 책이다. 토머스 대븐포터는 피터 드러커, 톰 프리드먼과 함께 세계 3대 경영전략 애널리스트로 꼽히는 사람이며, 브룩 맨빌은 세계적인 조직이론 전문가이다. 두 사람이 쓴 이 책은 아마존 10대 경영서 리스트에도 오르고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도 소개될만큼 화제를 불러일으켰다고 한다.

 

이 책이 왜 화제가 되었을까 생각하다보니 책이 출간된 배경과 맥락에까지 생각이 미쳤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 경영학계 전반에 인간의 합리성을 불신하고 비합리성을 전제하는 풍조가 퍼져 있다. 이러한 풍조는 경영이론의 하나인 조직이론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다. 기존 조직의 문제점이 무엇일까 고민하던 저자들은 이전의 조직이 리더 1인 또는 극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수뇌부 집단이 폐쇄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구조였다는 점에 착안하여 앞으로는 다수가 참여하는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주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


이 책에는 주로 미국의 사례들이 소개되어 있다.  소규모 가족기업 주택건설회사 WGB 홈즈의 사례를 보면, 과거에는 가족기업의 특성상 가족인 일부 임원들의 의견만 채택되기 쉽다는 한계가 있었는데  전체 직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기업의 매출도 급상승하고 직원들의 분위기도 달라졌다. 우리나라에도 중소규모의 가족기업이 많은데 이런 사례를 통해 조직 구조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사 결정에 한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돌아보면 좋을 것 같다.

 

가장 인상 깊었던 사례는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 맥킨지 앤 컴퍼니의 인재 풀 변경 과정이었다. 맥킨지는 전통적으로 하버드를 포함하여 미국 명문 MBA 몇 곳에서만 인재를 채용해왔다고 한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인재의 수와 질이 기대에 못미친다는 비판이 내부적으로 일어났고, 직원들의 의견을 수용하여 非 MBA출신의 인재를 채용하기 시작했다. 맥킨지처럼 명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존 문화가 공고하게 자리잡고 있어서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기가 참 어려웠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 자체의 전통과 문화를 바꾼 것을 보면 그만큼 인재 등용이라는 문제가 중요하다는 뜻이기도 한 것 같다.

 
파트너즈 헬스케어 병원은 의사보다 컴퓨터를 믿는 환자들의 속성에 따라 컴퓨터를 통해 진단을 하고, 환자의 표정이나 목소리 같은 세부적인 특징까지 수집하여 데이터를 만들고 이를 치료에 활용하고 있다. 직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과 탄생할 수 있었던 아이디어라고 한다. 미 샬롯 초등학교 사례는 특이하게도 기업이 아닌 교육 현장의 사례다. 이 학교는 빈곤층이 학생의 다수를 점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시험성적을 데이터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반영하였다. 그 결과 매 시험마다 교사와 학부모, 학생이 현재 읽기 능력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육부에서 권장하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학습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그 결과 학생들의 읽기 능력은 급속히 상승했다. 어떻게 보면 (데이터를 만든다는) 아주 간단한 해결책인데도 관습이나 저항감 때문에 쉽사리 도입하기 어려운 변화를 시도한 것이 큰 성공으로 이어진 것 같다.

 

의사 결정권자가 몇 명인가도 중요한 문제지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의 리더와 조직문화가 얼마나 개방적인지가 아닌가 싶다. 리더가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지 않고, 조직문화가 타협이나 융합, 조화와는 거리가 먼,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조직이라면 의사 결정권자가 소수든 다수든 최선의 결정이 내려지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런 점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책에 공감하고 화제를 불러일으킨 것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