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짓것! 한번 해보는 거야 - 나만의 방식으로 세상에 출사표를 던진 20대 청년의 50개 직업 도전기
대니얼 세디키 지음, 서윤정 옮김 / 글담출판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청년 실업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중국, 일본, 프랑스, 미국을 비롯한 세계 전역을 괴롭히고 있는 사회문제다. 우리나라에 '88만원 세대'가 있다면 중국 상하이에는 '개미족'이 있다. 이들은 대학을 졸업한 20대 청년층으로, 취업난으로 인해 정규직을 얻지 못하고 파트타임 또는 인턴을 전전하느라 극히 적은 보수를 받으면서 극심한 생활고를 겪고 있다. 생활비를 아끼느라 작은 방에 남녀가 열 명, 스무 명씩 동거를 하는 일도 비일비재 하다고 한다. 일본도 비슷한 실정이다. 비싼 집세를 감당하지 못해 24시간 운영하는 PC방에서 장기 거주하다가 아예 주소지로 등록하는 청년들도 있을 정도다. 프랑스는 몇 년 전부터 이른바 '700유로 세대'로 불리는 청년 실업자, 비정규직자들의 시위가 끊이지 않았고, 미국에서는 아주 드물게 월스트리트를 점령하는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몇 주 전 저녁 무렵, 언제나처럼 '배철수의 음악캠프'를 듣고 있었다. 시계가 일곱시로 넘어가면 '철수는 오늘'이라는 짧은 코너가 나오는데, 거기서 마침 대학 졸업후 3년 동안 취업을 위해 열심히 노력했으나 전부 낙방하고 미국 전역을 돌며 50개 직업을 체험한 청년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대단하다 싶어 어떤 사람인지 인터넷에서 찾아보다가, 마침 그 사람이 직접 쓴 책이 우리나라에 출간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읽어보았다. 

  

제목도 당돌한 <까짓 것 해보는 거야!>. 이 책의 저자 대니얼 세디키는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경제학과 졸업후 3년 동안 금융권 취업을 위해 노력했다. 번듯한 대학, 취업 잘 된다는 학과를 졸업했지만 보낸 이력서만 2천 통, 면접만 40번 이상 응시했다가 떨어졌다. 무보수 또는 파트 타임 일자리를 전전하다보니 1달러 짜리 샌드위치로 연명하는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고, 정신적으로도 많이 지쳤다. 처음 몇 번은 다음엔 잘 될 거라고 응원해주던 부모님과 가족들, 친구들도 점점 그를 '루저'로 보기 시작했다.

 

면접 때마다 면접관들은 그에게 이런 말을 했다. '자네는 경험이 부족해'. 그 말이 늘 대니얼의 머릿속을 맴돌았다. 그러던 중 우연한 만남을 계기로 낯선 곳에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다른 일자리를 찾고 새로운 문화를 겪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미국 전역 50개 주를 돌아다니며 각 주를 대표하는 직업을 체험해보는 것이다. 대니얼의 이야기를 듣고 부모님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 모두 반신반의하며 반대했지만, 그는 천천히 여행을 떠날 준비를 했다. 각 주의 회사에 연락을 하고 숙소를 찾았다.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많았지만, 어차피 벼랑 끝에 몰린 상황,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 아니겠는가. 그렇게 시작된 여행은 CNN, 폭스 채널 등 미국 주요 언론을 통해 소개되며 미국 전역의 사람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었다.

 

50개 직업을 체험한다는 것은 생각만큼 만만한 일이 아니었다. 일손이 부족하며 환영하는 곳도 있었지만, 대개는 잠깐 일하다 떠날 그를 반기지 않았고, 낯선 곳에서 숙소를 구하는 일도 힘들었고,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잘 지내는 일도 쉬운 일이 아니었다. 보수도 아주 적고, 어떤 곳은 아예 안 주기도 해서 여행 내내 돈 걱정이 끊이지 않았다. 생각지 못한 복병도 있었다. 바로 여자친구 문제. 여행을 떠날 때만 해도 그를 응원한다며 웹페이지 운영까지 담당했던 여자친구는, 어느날 갑자기 이별을 통보했고, 여행 내내 대니얼의 마음을 괴롭혔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생물학적인 나이가 높아진다는, 그런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부모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로부터 정신적으로 자립하고, 직업을 가지고 경제적으로 독립해야 진짜 어른이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대니얼은 처음엔 경제적으로만 독립을 못한 것처럼 보였지만, 실은 정신적으로도 여자친구와 가족으로부터 독립을 못한 '어른아이'였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 대니얼에게 이 여행은 진정한 '성인식', '통과의례'가 아니었나 싶다. 비록 이 여행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직업을 가지기로 결정했는지, 돈을 많을 벌었는지 같은 얘기는 나오지 않지만, 제 힘으로 먹고 살 수는 있다는 자신감, 그리고 여자친구와의 관계에 의존하지 않아도 행복하게 지낼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여러번 한국 언론이 그를 따라다니며 인터뷰를 했다는 부분이 나온다. 어떤 언론사가 취재했는지 찾아봤더니 2009년에 방영된 <SBS 스페셜> 중 한 편에 그의 이야기가 나온다고 했다. 영상을 찾아서 봤는데 책을 읽고나서라서 그런지 괜히 더 반갑고 신기했다. 영화도 제작될 예정이라고 했는데 개봉은 했는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