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인생만사 답사기 - 유홍준 잡문집
유홍준 지음 / 창비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인생만사 답사기 : 유홍준 잡문집>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저자 유홍준이 그동안 여러 매체를 통해 발표한 '잡문'들을 모아서 엮은 책이다. 저자는 '잡문'이라고 썼지만 저자의 글을 흠모하는 독자로서는 어느 글 하나 '잡문'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멀게는 이십 대 시절부터 가깝게는 최근까지, 대학 전공 시험에 제출한 시험지, 옥중에서 가족에게 보낸 편지, 신문이나 잡지 등에 기고한 글, 타계한 지인을 추모하며 쓴 글 등 각기 다른 시점에 다른 목적으로 쓴 글을 모았을 뿐인데 저자 자신의 삶이 보이고 그 삶이 한국 현대사 그 자체로 여겨질 만큼 치열해, 글 쓰고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앞으로 어떤 삶을 살고 어떤 글을 쓸지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책에는 저자 자신의 이야기도 많지만 저자에게 영향을 준 스승, 선배, 친구, 후배들의 이야기도 많이 있다. 읽으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는데, 나는 1980년대 후반생이기는 해도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할 정도로 역사나 정치에 관심이 많아서 대학생 때 리영희 선생님의 <전환시대의 논리>도 읽고 신영복, 홍세화 같은 분들의 책도 열심히 읽었지만, 역사나 정치에 관심이 없거나 이분들의 존함조차 들어볼 기회가 없는 시대를 살고 있는 요즘 학생들에게는 이분들의 업적이나 저술 활동 등이 어떤 식으로 전해질지(전해질 수나 있을지) 걱정이다. (저자의 결혼식 주례를 선 리영희 선생님이 혼인서약문의 "나라에 공헌할 것을 맹세합니다"라는 문장을 "사회에 공헌할 것을 맹세합니다"로 수정한 대목이 인상적이었다. 그 차이를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100년 뒤 지정될 국보, 보물이 있는가'라는 글도 인상적이었다. 그 글에 따르면 현재 국가문화재로 지정하는 유물, 유적은 100년 이상의 수령이 필요조건이다. 문제는 회화 분야에서는 박수근, 이중섭, 김환기 등 국가문화재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은 작품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데, 건축 분야에서는 그런 작품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의 건축 수준이 낮아서가 아니라 한국의 건축이 예술품으로서 보다는 주택, 부동산으로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으로서 실용성이 있으면서, 부동산으로서 소유자에게 손해가 되지 않으면서, 문화재로서도 보존할 가치가 있는 그런 건축물이 한국에 과연 존재할까(존재할 수 있을까). 생각해본 적 없는 문제인데 앞으로 건축물을 볼 때마다 떠올리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