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사이 - 취향의 테두리를 넓히는 둘만의 독서 모임
구달.이지수 지음 / 제철소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머니가 출판사에서 외판원으로 잠시 일한 적이 있어서 어릴 때부터 집에 책이 많은 편이었다. 그 책들을 열심히 읽는 나를 보고 주변에선 '책 좋아하는 아이', '책 많이 읽는 아이'라고 불렀지만, 사실 그 책들의 태반이 동화책이나 위인전 같은 아동 도서였기 때문에 온전히 나의 취향에 맞는 독서를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랬던 내가 책의 세계에 본격적으로 눈뜬 건 고등학교 때 만난 한 친구 덕분이다. 


더 이상 아동 도서를 읽지는 않았지만 주로 청소년 필독서나 '00대 추천 도서' 목록에 오른 책 위주로 독서를 하고 있던 나와 달리, 그 친구는 글로리아 스타이넘부터 아메리칸 원주민의 책까지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다양한 책들을 읽었다. 그 친구의 영향으로 곧바로 독서 취향이 바뀌...지는 않았지만(당시 내 눈 앞에 놓인 가장 중요한 과제는 독서가 아니라 입시였으므로), 대학에 입학하고 전보다 여유롭게 독서를 할 수 있게 되었을 때 그 친구 생각이 많이 났다. 내가 이십 대 때 겨우 만난 글로리아 스타이넘과 아메리칸 원주민의 세계를 십 대 때 만난 친구의 심정은 어땠는지도 뒤늦게 궁금했다.


안타깝게도 그 친구 이후로는 책 이야기를 주고 받을 만한 '실친'을 만난 적이 없다. 대신 그런 '인친'은 수없이 많으므로 아쉬움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에세이스트 구달과 번역가 이지수의 독서 에세이집 <읽는 사이>를 읽으며 부러움을 조금(아니 많이) 느낀 걸 보면 나도 모르게 그런 '실친'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가 보다.


구달 작가와 이지수 작가는 출판사에서 직장 동료로 만나 둘 다 퇴사하고 각각 에세이스트와 번역가로 다른 길을 걷게 된 후에도 우정을 이어 가고 있다(책 좋아하는 '실친'을 만나는 방법 중 하나는 출판사 입사인지도...). 두 사람을 잇는 공통점은 물론 '책'인데, 똑같이 아메리카노 커피를 좋아해도 사계절 내내 '아아'만 마시는 사람과 '뜨아'만 마시는 사람 사이에 건널 수 없는 강이 있는 것처럼, 똑같이 책을 좋아해도 러시아 문학을 애정하는 구달 작가와 일본 문학을 애정하는 이지수 작가의 독서 취향은 서로 달랐다.


좋아하는 책만 읽어도 나쁠 건 없지만 좋아하는 책 말고도 좋은 책이 더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던 두 사람은, 마침 팬데믹 시기라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기도 해서, 각자의 책장에서 고른 책 열 권을 택배로 부쳐서 바꿔 읽는 프로젝트를 시도했다. 이들이 고른 책 중에는 <도스또예프스끼 평전> 같은 벽돌책도 있고 <정년이>, <노견일기> 같은 만화책도 있다.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를 읽고 친구와 함께 별을 보러 가고, <김이나의 작사법>를 읽고 작사에 도전하는 대목을 읽으면서는 이 분들이 지향하는 독서의 경지가 보통이 아니라고 느꼈다(존경합니다). 이런 독서 모임 시리즈, 계속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