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도 동정탑 - 2024년 제170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구단 리에 지음, 김영주 옮김 / 문학동네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문학상으로는 흔히 아쿠타가와상과 나오키상이 꼽힌다. 아쿠타가와상과 나오키상에는 여러 차이점이 있는데, 아쿠타가와상은 주로 신인 작가에게 수여되는 반면 나오키상은 기성 작가에게도 수여된다. 아쿠타가와상은 작품의 예술성, 독창성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나오키상은 대중성, 오락성 등을 두루 평가한다. 내가 읽어본 아쿠타가와상 수상작과 나오키상 수상작만 해도 그랬다. 특히 아쿠타가와상 수상작은 <헌치백> (2023년 수상작), <최애, 타오르다> (2022년 수상작), <편의점 인간> (2016년 수상작) 등 주제나 소재, 문장과 형식 면에서 기발하고 참신한 작품이 많다.


2024년 제170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인 구단 리에의 <도쿄도 동정탑> 역시 여러 면에서 새롭고 독특하다. 주인공인 마키나 사라는 삼십 대 후반의 여성 건축가이다. 개인 사무소를 운영하는 그는 도쿄 도심 한가운데에 새로 지어지는 교도소의 설계 공모전에 참가해 당선된다. 문제는 정부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이 정한 교도소의 명칭이 '심퍼시 타워 도쿄'라는 것이다. 사라는 죄수들을 수감하는 장소인 교도소의 명칭 어디에도 교도소를 의미하는 단어가 들어있지 않다는 것과 일본인들 자신이 일본어 사용을 기피하고 영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분노한다.


미쳤다. 무엇이? 머리가 미쳤다. 아니 '머리'라고 하기엔 범주가 너무 넓은가? 아니, 오히려 좁지. 게다가 '머리가 미쳤다'라고 하면 정신장애인에 대한 차별 표현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여기서는 '네이밍 센스' 정도가 좋겠다. (중략) 자동 모드로 단어 선택에 대한 검열 기능이 바쁘게 작동한다. 나도 모르는 사이 성장하고 있는 검열관의 존재에 피로를 느끼고, 에너지 충전을 위해 급히 수식이 필요해진다. (7쪽) 


사라는 "일본인들이 일본어를 버리고 싶어"한다고 느낀다. 노숙자는 홈리스, 육아 방임은 니글렉트, 채식주의자는 비건, 소수자는 마이너리티, 성적 소수자는 섹슈얼 마이너리티... 이런 식으로 일본어 표현이 엄연히 존재하는데도 영어 표현을 부러 사용하는 이유는 기존에 사용하던 언어에 담긴 차별적, 혐오적 뉘앙스를 피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미혼모 대신 싱글맘을 사용하는 정도는 괜찮을지 몰라도, 범죄자를 범죄자라고 부르지 못하고 '호모 미세라빌리스(불쌍한 인간을 뜻하는 라틴어)'라고 부르는 건 괜찮지 않은 것 아닌가.


이 소설은 일본의 상황을 그리고 있지만 한국의 상황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한국 여자의 줄임말인 '한녀'는 혐오 표현이 아닌데 한국 남자의 줄임말인 '한남'은 혐오 표현인 것, 친일 반민족 행위자들의 후손들이 중도우파, 합리적 절충주의를 위시하며 그들을 규탄하는 정당과 대다수 국민들의 주장을 극단적 좌파, 비합리적 억지 논리로 일축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 소설은 생성형 AI로 만든 문장을 사용한 것으로도 화제가 되었는데, 언어가 담고 있는 사상이나 판단에 대한 평가 또는 해석 없이 그저 답만 제공할 뿐인 생성형 AI의 사용이 인류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줄지 생각하면 암담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