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실
조앤 디디온 지음, 홍한별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23년 12월
평점 :

이 책의 저자인 조앤 디디온은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살았다. 버클리 대학교 재학 시절 <보그>에서 주최한 에세이 공모전에서 우승하면서 화려하게 에디터 경력을 시작했고, 1960년대에는 '뉴 저널리즘'이라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을 제시하며 '작가들의 작가'로 인정받았다. 사적으로는 <타임>지 기자였던 존 그레고리 던과 결혼해 딸 퀸타나를 키우며 단란한 가정 생활을 했다. 그랬던 그에게 어느 날 갑자기 연속으로 불운이 닥쳤다. 결혼한 지 1년도 안 된 딸 퀸타나가 원인을 모르는 병으로 입원해 심란한 가운데 남편 존마저 심장마비로 사망한 것이다.
이 책은 존이 사망한 당시의 상황을 자세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2003년 12월 30일. 전 세계가 연말 분위기로 들썩이는 가운데 저자 부부는 입원 중인 딸을 면회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도착하자마자 저자는 부엌에서 식사를 준비했고 남편은 평소에 늘 앉던 자리에 앉아서 쉬고 있었다. 식사 준비를 마친 저자가 남편을 불렀는데 반응이 없어서 자리에 가보니 남편이 쓰러져 있었다. 서둘러 구급차를 부르고 최대한 빠르게 병원으로 이송했지만 남편은 다시 깨어나지 못했다. 이 모든 일이 단 몇 시간 만에 일어났다. '삶은 순간에 변한다'는 사실을 머리로는 알았지만, 이런 식으로 실감하게 될 줄은 알지 못했다.
고통은 이것으로 그치지 않았다. 남편 사망 당시에도 병원에 입원 중이었던 딸 퀸타나는 상태가 점점 더 악화되었다.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고칠 방법을 찾아 보았지만 효과가 없었다. 정신이 오락가락하는 딸에게 아버지의 죽음을 알려야 할지 말지, 알린다면 누가 어떻게 알리는 게 좋은지 알 수 없었다. 이십 대 시절부터 기자로서 작가로서 세상 만사에 대해 글을 썼던 저자였지만, 남편의 죽음과 딸의 병에 대해서는 뭐라고 말할 길이 없었다. 부모의 죽음을 이미 경험했고 상실의 아픔을 충분히 안다고 생각했는데도, 백년해로를 약속한 남편의 죽음과 자신보다 훨씬 오래 살아야 마땅한 딸의 불치병 앞에서는 속수무책이었다.
저자에게 존은 그냥 남편이 아니라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동료이기도 했다. 두 사람은 젊은 시절 기자로 만나서 둘 다 전업 작가로 활동했다. 둘 다 글 쓰는 일을 했기 때문에 서로가 겪는 직업적인 고충이나 정신적인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이해했다. 상대방의 글을 가장 먼저 읽고 날카롭게 비판 또는 충고해 주기도 했고, 더 나은 글을 쓰도록 격려와 지지를 아끼지 않았다. 그러므로 저자에게 남편의 죽음은 곧 자신의 첫 번째 독자이자 편집자를 잃어버리는 일이기도 했다. 그런 남편 없이 계속 글을 쓸 수 있을지, 남편이 읽지 못하는 글을 쓰는 게 자신에게 어떤 의미인지 생각하면 정신이 아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썼다. "정신을 흩트려 놓는 비애의 강력한 힘"에 지지 않기 위해 자신이 경험하고 생각하고 느낀 것들을 최대한 객관적이고 분석적으로 기록하고 정리했다. 과거의 자신처럼 상실에 대해 이미 알고 있다, 라고 자신하는 (오만한) 사람들에게 "삶이 언젠가 끝난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더욱 더 집착적으로 썼다. 슬프게도 이 책이 출간된 즈음에 딸마저 세상을 떠났는데, 저자는 딸을 잃은 경험 또한 글로 써서 <푸른 밤>이라는 책으로 발표했다. 저자의 결혼 생활과 가족에 대한 사랑이 더욱 자세히 그려져 있는 책이므로 함께 읽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