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 철학자가 번역한 고대 희랍어 원전 완역본 인문학 클래식 6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지음, 김동훈 옮김 / 민음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에 읽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을 민음사 인문학 클래식 버전으로 다시 읽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21~180년)는 로마제국의 16대 황제(161~180년)이다. 그가 재위하던 시기의 로마제국은 전쟁에 전염병까지 덮쳐 대내외적으로 매우 힘든 상황이었다. 고통과 질병, 상실과 분노가 일상이었고, 한 명의 인간이자 한 나라의 군주로서 그는 자신의 몸과 마음을 부지런히 살피고 돌볼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꾸준히 일기를 썼다. 그가 남긴 12권의 일기를 후대 사람들이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한 것이 <명상록>이다. 민음사 인문학 클래식은 이를 다시 '철학 훈련(관찰력)', '선택 훈련(결단력)', '관리 훈련(절제력)'으로 분류해 소개한다. 각 권의 마지막에는 서양 고전학자이자 철학자이기도 한 김동훈 번역자가 직접 만든 질문들과 일종의 내용 요약이라고 할 수 있는 명상 포인트가 실려 있어 이해를 돕는다. 


<명상록>은 짧은 길이의 잠언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기보다는 생각날 때마다 조금씩 읽기에 좋다. 제1권 '본보기'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가족 등 주변 사람들에게 직, 간접적으로 배우고 익힌 것들이 나온다. 할아버지에게는 "성내지 않는 좋은 습관"을, 아버지에게는 "염치와 사내다움"을, 어머니에게는 "경건하면서도 관용 있는 태도"와 "부자들이 벌이는 헛돈질을 멀리하는 소박한 삶"을 배웠다는 고백이 인상적이었다. 


제2권 '철학훈련(관찰력)'에선 "내 몸을 노예처럼 대하지 말고 윗사람처럼 여기며 관리하십시오."라고 쓴 대목에 공감했다. "당신이 3000년을 산다 한들, 3만 년을 산다 한들, 다른 인생을 버려서 지금을 사는 것이 아니고, 지금을 버려서 다른 인생을 살 수 있는 것이 아님을 기억하십시오."라는 대목에도 밑줄을 그었다. 내세나 이상이 아닌 현실을 중시하는 이러한 태도 때문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후기 스토아 학파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분류되는 것 같다. 


제3권 '선택훈련(결단력)'에선 "무엇이든 마음에 떠오르는 것이 있다면 항상 그것을 정의하고 표현하십시오. 그래서 그것이 어떤 부류에 속하는지 분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하십시오."라는 문장에 밑줄을 그었다. 그는 인생은 짧고, 새로운 일을 벌이거나 헛된 일에 신경을 쓰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그렇다고 선택에 방해가 되는 것이 있을 때 무조건 피하기보다는 '보류 조건'으로 설정하고 그것을 해결할 방법을 최대한 찾아보라는 조언이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