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달 전 뒤늦게 영화 <영웅>을 보고 안중근의 생애가 궁금해졌다. 그 전까지 나는 안중근을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독립 운동가로만 알았는데, <영웅>에서 보니 그는 독립 운동가인 동시에 독실한 천주교인이었고 한 집안의 맏아들이었다. 특히 천주교인으로서 하나님이 창조하신 생명을 살해하고 십계명(살인하지 말라)을 어긴다는 것에 대한 저항감이 거사 직전까지 상당했던 것으로 보였다. 그래서 안중근에 대한 책을 읽고 싶어져서 찾다가 이 책이 떠올라서 읽어보았다. 


<영웅>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도 안중근이 독립운동가로서의 역할과 기독교인으로서의 의무 사이에서 갈등한 것으로 그린다. 하지만 차이점이 있다. <영웅>의 안중근은 독립운동가로서 이토를 살해할지 아니면 기독교인으로서 십계명을 지킬지를 두고 내적인 갈등을 하는 반면, <하얼빈>의 안중근은 독립운동가로서 일본 정부+조선 왕실과 대립하고 기독교인으로서 천주교 사제들과 갈등하는 식으로 외적인 갈등을 치른다. 


즉, 이 소설에서 안중근은 일본 정부와 대립하는 동시에 1) 일본 정부의 하수인으로 전락한 조선 왕실과 대립하고 2) 표면적으로는 정치적 중립을 지킨다고 하지만 사실상 일본 정부와 결탁한 천주교 사제들과 대립한다. 일본 정부는 그렇다 쳐도 조선 왕실과 천주교 사제들은 그들의 백성이자 신도인 안중근을 마땅히 보호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중근을 버린다(갈등하다 버리는 것도 아니고 안중근의 행위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듯한 태도로 버린다). 


<영웅>을 봤을 때는 안중근의 내적인 갈등에 흥미를 느꼈는데, <하얼빈>을 읽으니 안중근(을 비롯한 독립 운동가들)에 대해 당시 조선 왕실과 천주교 사제들(을 포함한 다른 종교인들)이 어떠한 태도를 보였는지 궁금하다. 친일파 하면 보통 이완용을 비롯한, 한일강제병합 전후에 매국 행위를 하고 이를 통해 엄청난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본 사람들을 떠올리는데, 이 소설을 읽으니 그들 외에도 다양한 부류의 친일파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