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죽은 유대인을 사랑한다
데어라 혼 지음, 서제인 옮김, 정희진 해설 / 엘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안네의 일기>의 저자 안네 프랑크의 집을 박물관으로 만든 '안네 프랑크의 집'이 있다. 이곳에는 매년 10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아오는데, 몇 년 전 여기서 일하는 직원이 야물커(유대인 남성이 쓰는 모자)를 썼다는 이유로 고용주에게 질책을 들었다. 유대인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 박물관의 정치적, 종교적 중립성을 저해한다는 명분이었다." (본문 27-8쪽 요약) 

<사람들은 죽은 유대인을 사랑한다>는 정희진 선생님이 추천사를 쓰시고, 정희진 선생님이 진행하는 팟빵 매거진 <정희진의 공부>에서 소개하셔서 구입한 책이다. 책의 본문에 나오는 위의 일화를 듣고 책을 안 살 수가 없었다. 다른 장소도 아니고 유대인 박해를 상징하는 장소에서 유대인 직원에게 유대인 정체성을 드러내지 말라고 했다니, 너무하지 않은가. 한편으로는 정치적, 종교적 중립성을 준수한다는 명목으로 자행되는 약자, 소수자 차별 및 혐오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예시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 책을 쓴 데어라 혼은 1977년 미국 뉴저지에서 태어나 하버드대학교에서 히브리 문학과 이디시어 문학을 공부했고 비교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대인에 관한 소설을 다섯 편 집필했으며, 이 책은 저자가 집필한 첫 번째 논픽션 도서다. 이 책에는 모태 유대교 신자이자 대학에서 유대교와 유대 언어, 유대 문학, 유대 문화 등을 오랫동안 공부하고 연구한 학자, 전문가로서 저자가 직접 경험하거나 관찰한 반(反)유대주의의 사례들을 소개한다. 

사실 나는 유대교에 대해 잘 모르고, 필립 로스나 니콜 크라우스 같은 유대인 작가들의 소설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대인의 삶이나 유대인들의 문화, 역사에 대해 접했을 뿐이다. 어떻게 보면 이 책을 읽은 것이 유대인, 정확히는 유대인을 차별하고 혐오하는 반(反)유대주의에 대해 가장 자세히, 깊이 있게 배운 최초의 계기다. 

저자는 앞서 언급한 '안네 프랑크의 집' 사건 외에도 하얼빈에 남아있는 유대인의 문화유산, 홀로코스트 문학이나 영화의 영웅이 주로 비유대인인 문제, 유대인 서사는 우울하고 불편해서 읽기 싫다는 편견(의 탈을 쓴 혐오), 홀로코스트에 대해 조명하면 할수록 모방 효과에 의해 차별과 혐오가 기승하고 '홀로코스트 정도는 되어야 유대인 혐오. 아니면 유대인 혐오 아님'이라는 식의 백래시 현상이 일어난 것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정희진 선생님이 해설에 쓰셨듯이, 이 책은 기독교 중심적인 서양 사회가 어떤 식으로 타 종교를 탄압하는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남성 중심적인 인류 역사가 어떤 식으로 여성을 타자화했는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사람들이 '죽은 유대인'(만)을 사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남자들은 '죽은 여성'만을 사랑한다. (여기서 '죽은'은 물리적 죽음만이 아니라 정신적 죽음-대상화, 비인간화 등등-을 포함한다). 

저자가 열 살 아들과 셰익스피어의 '희극' <베니스의 상인> 오디오북을 듣는 일화도 재미있었다. 저자는 작품의 빌런인 샤일록이 유대인이라는 점과, 샤일록에 대한 묘사가 당대의 (그리고 현재의) 반유대주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이 작품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러나 '살코기 1파운드'가 나오는 이야기를 듣고 싶다는 아들의 간청으로 25년 만에 이 작품을 다시 (귀로) 읽었고, 읽으면서 작품 전체가 유대인을 향한 '가스라이팅'이라고 느꼈다. 이런 식의 해석도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