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작가 초롱
이미상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상 작가의 소설이 기발하고 참신하다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작가의 첫 소설집 <이중 작가 초롱>을 읽고 과연 그렇다고 생각했다. 여성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정면으로 다룬다는 점, 불합리한 관행이나 세태를 적극적으로 조롱한다는 점, 서사의 방식이 관습적이지 않다는 점, 비일상적인 비유와 상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시녀 이야기>를 쓴 캐나다의 작가 마거릿 애트우드가 연상되기도 했다. 


첫 번째 단편 <하긴>은 운동권 출신의 엘리트인 아버지가 고등학생인 딸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용이다. 그는 자신의 기대에 못 미치는 딸 보미나래를 미국에 있는 에코 공동체로 보낸다. 그곳에서 생활하는 모습을 다큐멘터리로 제작해 청소년 영화제에 출품, 수상 실적으로 대학에 가겠다는 계획이다. 자칭 '진보'라는 사람이 대학 입시라는 성과에 연연하고 기득권에 편입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을 풍자함과 동시에, 정치적 입장과 약자, 소수자에 대한 혐오 여부는 무관할 수 있음을 탁월한 솜씨로 보여준다. 


제14회 젊은작가상 대상 수상작인 <모래 고모와 목경과 무경의 모험>도 좋았다. 집안에서 '모래'로 불릴 정도로 존재감이 미미한 고모와 두 여자 조카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이야기는 더 어린 조카인 무경의 시선으로 진행되는데, 고모와 언니 사이의 유대감, 연대감을 이해하지 못했던 어린 화자가 나이가 들면서 차츰 그들의 관계를 이해하게 되는 과정이 흥미로웠다. 어떤 소외는 성장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예리하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마음이 가는 작품은 <티나지 않는 밤>이다. 치과에서 데스크 직원으로 일하는 수진의 취미는 밤마다 원룸 베란다에서 소설을 쓰는 것인데, 수진의 노동과 수입을 필요로 하는 남자들이 그의 유일한 취미를 비웃으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표제작 <이중 작가 초롱>도 글 쓰는 여자가 주인공인데, 말할 자유가 없는 여성에게서 글 쓸 자유조차 빼앗는 세상을 폭로한다는 점에서 연결되는 작품으로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