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나쁜 일 오늘의 젊은 작가 37
김보현 지음 / 민음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년 전 어린 아들을 병으로 잃고 우울증과 신경쇠약에 시달리던 정희는 재취업 면접을 보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남편 성훈이 생전 처음 보는 여자와 함께 어딘가로 가는 모습을 보게 된다. 아무리 연락해도 남편은 답이 없고, 그렇게 하룻밤을 꼬박 새운 정희는 남편이 출근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바로 그 때 낯선 남자가 정희를 찾아온다. 그는 자신이 성훈의 이란성 쌍둥이 여동생 지애의 남편이라며 성훈의 행방을 묻는다. 지애가 결혼한 줄도 몰랐던 정희는 성훈과 지애가 함께 도망간 것 같다는 남자의 말에 혼란스러워 한다. 


어린 자식의 죽음과 배우자의 실종이라는 설정만으로도 <가장 나쁜 일>이라는 제목이 타당하게 느껴지는데, 이 소설에서 이러한 설정은 시작에 불과하다. 이후 정희는 (어린 자식의 죽음과 배우자의 실종보다도) 더 나쁜 상황에 놓이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 정희만 '가장 나쁜 일'을 겪고 있는 건 아니다. 탈북자 출신인 점례는 남한에서 아들을 잃었고, 점례의 동료인 철식 역시 남한에서 아내 록혜를 잃었다. 문제는 이렇게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살아도 살아 있지 않은 것 같은 나날을 보내는 사람들을 이용해서 먹고 사는 인물이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 소설의 빌런은 타인의 불행으로 자신의 행복을 만드는 인물인데, 소설을 다 읽고 나서는 애초에 그런 인물이 등장할 수 있는 사회 구조 혹은 환경이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까, 애초에 정희와 성훈이 아들을 잃지 않았다면, 국가의 의료보험 제도가 훨씬 더 탄탄하게 마련되어 있어서 사보험에 가입하지 않아도 경제적 어려움 없이 아들을 케어할 수 있었다면, 정희도 성훈도 그들을 둘러싼 사람들도 그토록 비참한 선택을 하지 않아도 되었을 텐데 하는 생각. 


인간의 생로병사가 자본주의와 결합되어 고도의 돈벌이가 된 지금으로서는 사실상 살아가는 일 자체가 나쁜 일, 더 나쁜 일, 가장 나쁜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산다는 건 돈이 든다는 것이고, 돈이 드니까 돈을 벌어야 하고, 돈을 벌어야 하니까 원하지 않는 일도 해야 되고, 그러다 보면 늙고 병들고 점점 더 죽음에 가까워지고... 그래서 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 이후 정희의 삶이 더욱 궁금하다. 정희는 과연 (나에게는 좀처럼 보이지 않는) 살아갈 낙이나 희망을 찾았을까. 언젠가 정희의 후일담을 읽게 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