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후의 대국, 우크라이나의 역사 - 장대한 동슬라브 종가의 고난에 찬 대서사시
구로카와 유지 지음, 안선주 옮김 / 글항아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지만 우크라이나에 대해 배운 기억은 전혀 없다. 구 소련의 위성국가였다는 것과 소련이 해체될 때 독립 국가가 되었다는 것, 유럽의 곡창지대로 불린다는 것 정도만 겨우 떠오를 뿐이다. 이는 옆나라 일본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유럽 최후의 대국, 우크라이나의 역사>를 쓴 구로카와 유지는 도쿄대학을 나온 엘리트 외교관인데도 주 우크라이나 대사로 부임하기 전까지 우크라이나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그런 그가 우크라이나의 역사와 문화, 지정학적 중요성을 연구하여 쓴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전술한 것처럼 우크라이나 하면 1991년 소련이 해체된 해에 처음 건국된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10~12세기에 현재의 동유럽 지역에는 '키예프 루스 공국'이라는 대국이 존재했다. 키예프 루스 공국의 수도는 현재 우크라이나의 수도인 키예프에 있었다. 하지만 이후 몽골의 침략으로 키예프 루스 공국이 쇠퇴하고 모스크바가 슬라브 공국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키예프 루스 공국을 잇는 정통 국가의 자리를 우크라이나가 아닌 러시아가 차지하게 되었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게 빼앗긴 것은 역사와 지역의 중심 지위만이 아니다. 우크라이나는 상당한 수준의 문화 예술과 과학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것들을 모두 러시아에 빼앗겼다. 일례로 러시아가 자랑하는 문호 고골은 순수 우크라이나인이며, 도스토옙스키, 차이콥스키의 선조도 우크라이나 출신이라고 한다.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발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세르게이 코롤료프 역시 우크라이나인이다. 우크라이나가 엄청난 농업 생산량을 자랑하는 나라인 건 맞지만, 농업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좋겠다. 


우크라이나의 역사를 보면, 일본과 중국 등 강대국들을 주변국으로 두어 주권을 지키기가 쉽지 않았던 우리나라의 역사가 자연히 떠오른다. 만약 우리나라가 독립을 달성하지 못하고 최근까지 주변국으로부터 군사적, 경제적 지배를 받았다면, 우크라이나처럼 자국의 역사를 빼앗기고, 문화와 예술을 빼앗기고, 속절없이 침공 당하는 상황에 놓이지 않았을까. 한국이 자랑하는 위인들이 일본이나 중국의 위인으로 소개되고 있다고 상상하면 아찔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기 훨씬 이전에(2002년) 일본에선 이미 이런 책이 출간되어 있었다는 사실도 놀랍다. 단순히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 예술에 대해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국방이나 경제 등 현실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문제들에 대해 전직 외교관으로서의 통찰을 담은 분석을 중심인 책을 펴냈다는 사실도 인상적이다. 2000년대 초에 출간된 책이라서 최근에 부상한 문제들이 담겨 있지 않은 점은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