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애하는 미스터 최 - 사노 요코가 한국의 벗에게 보낸 40년간의 편지
사노 요코.최정호 지음, 요시카와 나기 옮김 / 남해의봄날 / 2019년 7월
평점 :
품절




작가 사노 요코가 베를린 유학 중 만난 한국인 남성 '미스터 최'(최정호)와 40여 년 동안 주고받은 편지를 엮어서 만든 책이다. 


처음에는 책의 콘셉트에 대해 반감이 없지 않았다. 두 사람이 오랫동안 사적으로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한 사람이 세상을 떠난 후 남은 한 사람이 그 편지들을 세상에 내보인다는 게 부적절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책을 읽고 오래전부터 미스터 최가 사노 요코에게 편지들을 모아서 책을 내고 싶다는 뜻을 밝혀 왔음을 알 수 있었고("사노 요코의 편지는 혼자 읽기엔 너무나 아까운, 편지의 모양을 빙자한 하나의 에세이다"), 사노 요코가 세상을 떠난 후라도 출간될 가치가 충분히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독재 정권의 박해를 피해 도망치듯 베를린으로 유학 온 남자. 나이를 먹고 남편이 있어도 미술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던 여자. 두 사람은 한 송년 파티에서 만나 둘 다 일본어를 할 수 있다는 이유로 친해졌고, 각자의 나라로 돌아간 후에도 편지를 계속 주고받았다. 이 과정에서 오로지 예술만 생각했던 여자는 일본이 한국에 저지른 만행을 대신 사과하고 한국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 때문에 고초를 겪는 남자를 진심으로 걱정한다. 나라 걱정과 생계에 대한 부담으로 매사에 심각했던 남자는 여자 덕분에 웃음을 되찾고 인생을 즐기는 법을 배운다. 


40년 동안 친구였다고 해도 실상 자주 얼굴을 본 건 베를린 유학 시절 몇 년이 전부일 텐데, 아무에게나 털어놓기 힘든 내밀한 이야기들도 나눈 걸 보면 우정의 농도가 꽤 진했던 것 같다. 사노 요코가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기 전 "서투른 그림만 그리는 게 아니라 서투른 글도 쓰고 있"다며 "이러다가 제 에세이집이 나오면 어떡하지요? 사람은 수치를 모르는 동물이에요"라고 걱정한 대목이라든가, 출산과 두 번의 이혼을 겪으며 불안하고 혼란스러운 마음을 이야기한 대목들을 보면 그런 생각이 든다. 


두 사람 모두 틈만 나면 당신의 재능이 부럽다며, 쉬지 말고 책을 쓰라고 독려하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 것도 인상적이었다. 사노 요코는 한국어를 못해서 미스터 최가 쓴 책을 읽지 못할 텐데도 그런 말을 하니 재미있었다. 사노 요코가 말년에 한국 드라마에 심취했던 것으로 아는데, 오랫동안 미스터 최를 통해 한국 문화를 간접적으로 접했던 사노 요코의 눈에 드라마 속 한국의 모습이 어떻게 비쳤을지도 궁금하다. 한국에 늘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던 그가, 한국에서 이토록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작가가 되었다는 걸 알면 얼마나 기뻐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