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쩌다 그만두지 않았을까
정옥희 지음, 강한 그림 / 엘도라도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다는 건 수많은 편견과 싸우는 일일지도 모른다. 때로는 나를 향한 편견과 싸우기도 하지만, 때로는 내 안의 편견들을 깨닫고 그것들을 버리는 과정에서 힘겨운 싸움을 하기도 한다. 


이 책의 서문에서 나는 부지불식간에 가지고 있던 나의 편견 하나를 발견했다. 발레리나는 아름답고 날씬하고 우아하다는 생각. 그러한 생각이 발레를 하는 사람들에게 무거운 부담 내지는 지겨운 편견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는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미처 깨닫지 못했다. 심지어 저자는 발레리나라는 명명조차 불편하다고 말한다. 발레리나라고 불리면 왠지 간지럽고 낯설어서 발레 전공자 또는 발레 무용수라고 불리는 편을 선호하게 되는 마음. 그것 역시 발레리나에 대한 외부인들의 무지 또는 오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겉보기에 아름답고 우아한 발레리나의 세계가 아닌, 발레 전공자 또는 발레 무용수의 현실을 보여준다. 저자 정옥희는 여덟 살 때 발레를 시작해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템플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초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책에는 발레에 대한 또 다른 편견들을 깨주는 이야기들도 많다. 발레 전공자들은 전부 유복한 집안 출신인 줄 알았는데, 저자의 경우 가정 형편이 결코 넉넉하지 않았고 학원비만 겨우 낼 수 있는 정도였다. 학원비조차 낼 수 없을 때도 있었는데, 그때는 내 실력이면 혼자서 연습해도 충분하다, 무용복이 낡을수록 연습을 많이 했다는 증거다,라는 생각을 하며 멘탈을 지켰다. 발레단의 무용수는 노동자다. 아티스트의 자의식보다는 장기근속자의 노련함이 미덕이다. 


'죽기 전에 춤추고 노래하라', '춤추라 아무도 보지 않은 것처럼' 같은 유의 잠언이 춤을 전문적으로 추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하게 들린다는 것도 지적한다. 많은 사람들이 춤을 너무 쉽게 본다.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아도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춤을 출 수 있는 것처럼 말한다. 발레는 그중에서도 평판이 좋은 편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발레를 전공한다고 하면 '공부는 못하는데 대학은 잘 가고 싶었구나' 같은 말을 듣고, 여자는 '시집 잘 가고 싶었구나', 남자는 '남자답지 못하구나' 같은 말을 듣는다. 무례하고 어리석은 말들이다. 


발레 전공자들은 가혹한 다이어트와 완벽주의에 시달린다는 편견은 안타깝게도 사실이다. 높은 경지를 추구하는 과정이 쉽고 편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한국의 발레 교육 환경은 외국의 발레 교육 환경에 비해 훨씬 더 경쟁이 치열하다. 그런 경쟁을 뚫고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입학 후 전공에 흥미를 잃거나 다른 진로를 모색하는 상황은 발레에 대한 편견만큼이나 개선이 시급하다. 뭐, 한국의 어느 분야가 안 그렇겠냐마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