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만만해지는 책 - 넷플릭스부터 구글 지도까지 수학으로 이루어진 세상의 발견
스테판 바위스만 지음, 강희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을 왜 배워야 하는 걸까. <수학이 만만해지는 책>을 쓴, 유럽에서 가장 촉망받는 수학자 스테판 바위스만도 한때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고 한다. 대학 입시를 위해 수학을 공부하던 시절에는 난해한 공식이나 직선 또는 포물선 모양의 그래프가 대체 무슨 쓸모가 있는지 도무지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수학자로서 상당한 커리어를 쌓은 지금은 수학만큼 쉽고 유용한 학문은 없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수학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쓸모를 지닌다는 의견에 적극 동의한다. 


이 책은 사람들이 일상 속에서 흔히 겪는 상황 속에 어떤 수학 원리나 수학적 접근법이 숨겨져 있는지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 넷플릭스는 어떻게 내가 보고 싶은 영화나 드라마를 미리 알고 추천하는 걸까. 여기에는 수학의 '그래프이론'이 숨어 있다. 이용자가 추천 목록에 포함된 영화를 보면 넷플릭스는 그 결과를 그래프로 만들어 목록을 갱신한다. 때로는 이용자가 추천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영화를 선택할 때도 있다. 넷플릭스는 그 모든 과정을 추적해 이용자의 취향을 감지하고 특정 장르물을 선호하는 이들을 해당 그룹에 추가한 뒤 추천 목록을 작성한다. 이는 구글 같은 검색 엔진 서비스나 내비게이션의 시스템과도 유사하다.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미분이나 적분이 사는 데 무슨 도움이 되느냐고 하소연하기도 한다. 실제로 미적분을 몰라도 충분히 잘 살 수 있고, 수학과 관련된 직업을 선택해도 컴퓨터가 대신해주기 때문에 직접 다룰 일은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미적분이 어떤 영역에서 쓰이고 있는지는 알아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가 속도를 조절하는 원리나 의사가 종양이 전이되는 속도를 예측할 때 미분이 사용된다. 자동차 충돌 시 차량 안전도를 검사할 때나 기상 전문가가 온도나 습도를 예측할 때는 적분이 사용된다. 


성별에 따른 임금격차를 이해하는 데에는 통계 지식이 필수다. 이른바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나라들에서도 여성 임금이 남성 임금의 85퍼센트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이때의 임금격차는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남성 전체와 여성 전체를 비교했을 때 여성이 15퍼센트 덜 받는다는 뜻이다. 애초에 고용 단계에서 탈락한 여성이나 고용 후 결혼이나 임신, 출산 등으로 인해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의 임금 수준을 포함하면 실제 남성과 여성의 임금 차이는 훨씬 더 크다. 또한 전체 여성의 평균 연봉이 낮은 까닭은 여성이 고위직에 진출하는 빈도가 낮기 때문이다. 정부 부 고위직이나 대기업 간부들의 성별이 대부분 남성인 점, 간병이나 간호, 교육 등 전형적인 여초 직종의 임금이 경찰 같은 남초 직종의 임금보다 낮은 점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