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현대사를 만든 세가지 사건 - 1919, 1949, 1989
백영서 지음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깝지만 먼 나라 하면 주로 일본을 떠올리지만 중국도 못지않다.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한국은 중국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지만, 동서 냉전 시대를 거치면서 미국이나 일본 같은 우방 국가들에 비해 거리가 멀어진 감이 없지 않다. 그러나 중국이 개혁개방 노선을 택한 이후로는 경제적으로 많은 교류가 생겼고, 최근에는 한류의 영향으로(한한령으로 인해 주춤한 감이 없지 않지만) 문화적으로도 전보다 훨씬 거리가 가까워졌다. ​ ​ 


연세대 사학과 백영서 명예교수가 쓴 이 책은 중국 현대사의 핵심적인 세 가지 사건을 소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100년 동안 중국 현대사를 수놓은 다양한 사건 중에 저자가 중요한 기점으로 택한 것은 1919년 5.4운동,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1989년 톈안먼사건이다. ​ ​ 


5.4운동은 베르사유 강화회의의 결과로 독일의 조차지였던 산둥의 이권이 중국에 반환되지 않고 일본에 넘어가게 된 것을 규탄하기 위해 베이징 내 여러 대학의 학생들이 톈안먼 앞에 모여 규탄 대회를 연 일을 일컫는다. ​ 저자가 이 사건에 주목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는 청년, 학생층 중심의 항일 운동이 전국 규모의 '신문화 운동'으로 확산된 것이고, 둘째는 이 과정에서 정치 운동이 조직화되고 이념 노선이 갈라진 것이고, 셋째는 구국 운동을 벌이는 과정에서 민중/국가의 구분이 사라지고 민중이 곧 국가가 되는 경험을 한 것이다. 이런 식으로 '사회변혁적 자아'가 형성된 것은 이후에 발생한 혁명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 ​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은 이제까지 국공내전의 결과 국민당이 패퇴하고 공산당이 승리한 것을 선언한 사건으로 평가받아 왔다. 저자는 이러한 평가를 단순한 시각으로 일축하고 보다 복합적인 역사 해석을 제시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이라는 사건을 해석할 때 주목해야 할 것은 사건 그 자체가 아니라 열세였던 공산당이 승리한 원인이다. ​ 혹자는 미국의 중국정책 실패를 들고, 혹자는 소련의 만주 점령을 들지만, 저자는 그보다 내부적인 요인, 구체적으로는 '토지개혁'이 주요했다고 본다. 즉 공산당은 민중의 다수를 점하는 농민 계층이 만족할 만한 토지개혁안을 제시했고, 이를 통해 농민 계층을 혁명세력으로 변혁시킴으로써 정권 장악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 ​ 


톈안먼사건은 지금도 중국 내부에서는 금기시되어 논의되지 않고 있는 사건이다. 톈안먼사건에 대한 기억이나 평가는 당시 시위를 주도한 지도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우파는 이 사건을 일당 독재 체제를 타파하고 민중 참여를 늘리기 위한 자유민주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보는 반면, 좌파는 당시 중국정부가 추진하던 개혁개방 노선과 신자유주의 정책에 반대하고 본래의 노동계급 중심의 사회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운동으로 본다. ​ 저자는 논의의 끝에 - 많은 독자들이 궁금해할 - "중국공산당은 계속 집권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덧붙인다. 논문 형식의 책이라 읽기가 쉽지는 않지만, 찬찬히 읽으면 중국의 과거와 현재에 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