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죽음이 내게 말해준 것들
고칸 메구미 지음, 오시연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의 끝에서 나는 무엇을 소망하거나 후회할까. 16년간 요양 병동에서 일하며 1000명이 넘는 환자의 마지막을 직접 배웅한 일본의 간호사 고칸 메구미의 책 <천 개의 죽음이 내게 말해준 것들>을 읽으며 든 생각이다. 이 책에는 저자가 그동안 병원 안팎에서 만난 환자들과 그 가족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대체로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편안한 상태로 세상을 떠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실제로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평온한 상태로 죽음을 맞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저자가 만난 환자들 중에는 죽기 직전까지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거나 사랑하는 사람들과 충분히 인사를 나누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은 사람도 많다. 저자는 이런 사람들을 보면서 후회 없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살아있을 때 적극적으로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보고, 가까운 사람들과 죽음에 대한 대화를 나누며 준비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책에는 자신 또는 가족의 죽음에 대비해 미리 생각해 보고 준비하면 좋을 것들이 자세히 나온다. 그중 하나가 '연명치료'다. 연명치료의 정의는 의사마다 다르다. 심폐소생술도 연명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주사를 통한 인공영양, 인공투석, 인공호흡 등 자발적이지 않은 모든 과정이 연명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다. 그러니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사전에 연명치료의 의미를 통일해두면 좋다. 환자에 따라서는 병원이나 요양 시설이 아닌 자택에서 편안하게 죽음을 맞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원하는 죽음의 형태에 따라 치료의 목적이나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니 환자 본인과 가족, 의료진 간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동양권 국가에서는 부모의 임종을 지키지 못하는 것을 죄악시하는 경향이 있다. 원래 이 말은 '부모보다 먼저 죽는 것이 가장 큰 불효다'라는 뜻으로, 부모가 죽는 순간에 그 자리에 있었는지 아닌지와는 상관이 없다. 그러므로 부모의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면 너무 후회하지 말고 앞으로의 시간 동안 부모를 떠올리고 추억하는 것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