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처한 클래식 수업 3 - 바흐, 세상을 품은 예술의 수도사 난생 처음 한번 들어보는 클래식 수업 3
민은기 지음, 강한 그림 / 사회평론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읽은 '시리즈물' 중에서 가장 좋았던 것 중 하나가 서울대 작곡과 민은기 교수님이 쓰신 <난생 처음 한번 들어보는 클래식 수업>이다. 모차르트, 베토벤에 이어 이번에는 바흐 편을 읽었는데, '음악의 아버지'라는 수식어가 왜 맞고 틀린 지부터(바흐는 그렇다 쳐도 헨델은 왜 '음악의 어머니일까? 둘이 부부도 아닌데) 바흐의 전 생애와 음악적 특징, 음악사에서 가지는 위치 등에 대해 체계적이고도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어서 무척 유익했다. 


바흐는 음악의 역사에 있어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의 위상을 지니는 예술가이지만, 정작 바흐 자신은 스스로를 예술가로 인식하지는 않은 것 같고, 주위 사람들로부터도 그런 식의 대접을 받지는 않은 것 같다. 대대로 음악가를 배출해온 집안에서 태어난 바흐는 어려서 부모님을 잃고 나이 차가 많이 나는 형의 집에서 자랐다. 십 대 시절에 교회 연주자로 취직해 이후에도 주로 교회에서 봉직한 바흐는 스스로를 예술가라기보다는 종교인으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바흐는 음악을 하나님이 창조한 우주의 신비한 원리를 소리로 표현하고 죄 많은 인간의 영혼을 고양시키는 일종의 수단으로 여겼다. 


그래서일까. 종교를 가지지 않았는데도 바흐의 음악을 들으면 왠지 모르게 주변이 신성해 보인다. 인간이 만든 음악이라기보다는 자연의 가장 아름답고 순수한 소리를 조화롭게 배치한 것 같다. 어쩌면 이는 바흐의 작곡 방식과도 관련이 있을지 모른다. 바흐의 대표곡 중 하나인 <골드베르크 변주곡>은 기독교의 '삼위일체' 개념을 구현한 작품이다. 변주곡들의 첫 음을 살펴보면 3번 변주곡은 1도 간격, 6번 변주곡은 2도 간격 하는 식으로 차례차례 간격이 멀어져 27번 변주에 이르면 9도 간격까지 멀어진다. 언뜻 보면 수학을 응용한 것 같기도 한데, 수학 역시 단순한 질서로 우주의 원리를 규명하는 학문이므로 음악과 무관하지 않다. 


바흐가 오늘날의 명성을 얻게 된 것은 멘델스존의 공이다. 1829년, 당시 떠오르는 신예 음악가로 한창 주목받고 있던 멘델스존이 베를린 징 아카데미에서 바흐의 <마태 수난곡>을 초연한 것이다. 멘델스존은 <마태 수난곡> 악보를 할머니에게 선물 받았는데, 그전까지 이 곡은 극소수의 음악계 인사들에게만 알려져 있었다. 만약 멘델스존의 할머니가 멘델스존에게 바흐의 악보를 선물하지 않았다면, 멘델스존이 바흐의 악보가 지닌 가치를 몰라봤다면, 음악의 역사는 바뀌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