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인간은 기억하지 않는다 - 창의적인 삶을 만드는 뇌과학자의 생각법
모기 겐이치로 지음, 이진원 옮김 / 샘터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록한 건 기억이 나는데 뭘 기록했는지 기억이 안 날 때가 있다. 더 답답할 때는 어디에 기억을 했는지조차 떠오르지 않을 때인데, 그럴 때마다 건망증 혹은 치매를 의심하는 것, 혹시 저뿐인가요?... 


<생각하는 인간은 기억하지 않는다>는 일본의 뇌과학자 모기 겐이치로가 쓴 책이다. 저자에 따르면 기억은 '저장하기', '보존하기', '출력하기(생각해내기)' 이렇게 3단계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장하기'와 '보존하기'에만 관심이 있다. 학교 시험도 학생이 얼마나 많은 지식을 저장하고 보존했는지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건, 마지막 단계인 출력이다. 저장하고 보존한 기억들을 적시, 적소에 생각해낼 줄 아는 사람, 생각해낸 기억들을 재구성하고 재조립해 새로운 발상을 떠올리는 사람을 가리켜 우리는 '천재'라고 부른다. 


'생각해내는' 능력은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도 있지만, 후천적으로 훈련을 통해 얻을 수도 있다. 생각해내는 능력을 기르고 싶다면 '귀찮다', '필요 없다'라고 단정 짓고 피하는 일들을 일부러 해보는 게 좋다. 저자의 경우, 50대가 되었을 때 마라톤에 도전하고 영어로 책을 쓰기 시작했다. 둘 다 처음에는 '괜히 시작했나?'라는 생각이 들 만큼 힘들고 막막했다. 일본에서 이미 잘나가는 학자이고 작가인데 괜한 일에 도전해 실패하면 어쩌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새로운 일에 도전해 초심자 단계부터 차근히 레벨을 올리면서 많은 자극을 받았다. 그 과정에서 상당한 체력을 얻었고,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영어로 쓴 책을 영어권 국가에서 출간하는 기쁨도 누렸다. 


요즘같이 디지털 기술이 발달한 시대에는 새로운 일에 도전하기가 무척 쉽다. 집에서 가만히 앉아서 남들 다 보는 드라마를 보는 대신 유튜브에 접속해 화제가 되고 있는 동영상을 찾아서 보자. 그게 싫으면 평소에 궁금했지만 직접 해볼 엄두는 나지 않았던 일에 관한 동영상을 찾아서 보는 건 어떤가. 요즘은 아이패드로 악기 연주도 할 수 있고, 인터넷에서 외국 음식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를 주문해서 집에서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이렇게 매일 새롭고 자극이 되는 경험을 쌓으면 뇌가 늙을 시간이 없다. 이 밖에도 눈여겨볼 조언이 많이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