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작은 화판 - 권윤덕의 그림책 이야기
권윤덕 지음 / 돌베개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 때문에 그림책을 읽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럴 때마다 드는 생각은, 이 좋은 책들을 어른들도 읽었으면 좋겠다는 것. 그림책 작가 권윤덕의 에세이집 <나의 작은 화판>을 읽으면서도 그런 생각을 자주 했다. 저자는 1995년 첫 그림책 <만희네 집>을 출간하며 데뷔해 현재까지 10권의 그림책을 출간했다. 지은 책으로는 <엄마, 난 이 옷이 좋아요>, <만희네 글자벌레>, <시리동동 거미동동>, <고양이는 나만 따라해>, <일과 도구>, <꽃할머니>, <피카이아>, <나무 도장>, <씩스틴>이 있다. 


저자는 어릴 때부터 미술을 하고 싶었다. 하지만 아버지가 "여자가 그림을 그리면 팔자가 세진다."라며 반대하는 바람에 미대에 못 가고 식품영양학과에 진학했다. 그래도 여전히 미술에 대한 열망을 버리지 못해서, 몇 개월간 입시 미술을 공부해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광고디자인과에 입학했고, 졸업 후에는 미술을 통한 사회참여 운동을 해왔다. 그러다 결혼 후 생계를 위해 일거리를 찾다가 지인의 소개로 그림책 작업을 하게 되었고, 그렇게 그림책 작가로 산 지 올해로 25년째다. 


책에는 지난 25년 동안 저자가 한 권 한 권 만들어 낸 그림책 작업 과정과 일상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림책 작가 중에는 출판사에서 제공한 원고에 그림만 그리는 작가도 더러 있는데, 저자는 자신이 직접 소재를 찾아서 스토리를 만들고 그림책으로 완성하는 편이다. 그러다 보니 글도 잘 쓰고 그림도 잘 그려야 한다는 이중의 부담감에 시달렸고, 한 권 작업하는 데 몇 년이 소요되기도 했다. 그만큼 책이 완성되면 인생의 한고비를 넘은 듯 후련했고, 성공의 기쁨도 실패의 아픔도 온전히 다음 작품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밑거름으로 쓸 수 있었다. 


초기에는 자신의 일상이나 어린 시절의 기억에서 소재를 찾았다면, 점점 역사나 사회 문제, 환경 문제 같은 큰 주제로 소재의 범위를 넓혀간 것도 눈에 띈다. 특히 일본군 종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꽃할머니>, 제주 4.3사건을 다룬 <나무 도장>, 광주 5.18 민주화 운동을 다룬 <씩스틴> 같은 작품들은 국경과 시대를 초월해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를 깊이 있게 다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책들과 함께, 저자가 직접 물리학, 진화학 공부를 하면서 느낀 생명의 경이로움에 대해 이야기한 책 <피카이아>도 꼭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