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포크라테스 미술관 - 그림으로 읽는 의학과 인문학
박광혁 지음 / 어바웃어북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과 의학. 인간을 다룬다는 것 외에는 별다른 접점이 없어 보이는데, 이 책을 쓴 박광혁에 따르면 의학의 시선으로 미술을 보면 신화, 문학, 예술, 역사, 인류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인문학의 카테고리가 읽힌다고 한다. 모네가 죽음의 문턱에 선 아내 카미유의 모습을 담은 작품 <임종을 맞이한 카미유>만 해도 그렇다. 일반인의 눈에는 모네가 겪은 비극적인 삶의 대목을 담은 그림으로 보이겠지만, 의사의 눈에는 죽음을 앞둔 이들의 안색을 깊게 관찰하고 기록한 의학자 히포크라테스의 모습이 보이는 것처럼 말이다. 


이 책은 의사인 저자가 지난 20여 년 동안 프랑스, 영국,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전 세계 미술관을 순례하며 직접 명화를 감상하고 그에 관한 기록을 남겨 엮은 결과물이다. 첫 번째 이야기의 주인공은 고흐다. 고흐의 작품 <영원의 문>에는 손에 얼굴을 묻고 비통해하는 노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모습에서 저자는 전쟁에서 부상을 얻은 뒤 고통 속에 살아가는 노인의 모습과 함께, 아버지를 여의고 극심한 절망감에 빠져 정신착란 증세를 보였던 화가 고흐의 모습을 봤다. 실제로 고흐는 이 그림을 그리고 두 달 후에 세상을 떠났다. 


스페인의 화가 고야가 그린 <의사 아리에타와 함께한 자화상>이라는 작품도 인상적이다. 그림 속 환자는 고야 자신이다. 그런 고야를 부축해 약을 먹이고 있는 남자가 의사 아리에타다. 인류 역사에서 의사가 좋은 대접을 받기 시작한 건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고대와 중세에는 이발사가 외과의사 역할을 겸임했을 정도로 의사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았다. 근대에 이르러서야 의사가 제대로 된 직업으로서 대접받기 시작했고 현대에는 의사의 위상이 매우 높지만, 머지않아 의사 대신 AI가 환자를 진료하는 세상이 오면 상황이 바뀔지도 모른다고 저자는 염려한다. 


작가이자 의사였던 러시아의 대문호 안톤 체호프의 이야기도 나온다. 가난한 집안 출신인 체호프는 의과대학에 다니는 동안 잡지나 신문에 콩트나 유머 단편을 기고해 용돈을 벌었다. 의대를 졸업하고 정식 의사가 된 후에도 체호프는 작가로서의 활동을 이어갔다. 체호프의 소설 중에는 의사로서의 경험이 녹아있는 작품이 적지 않다. 의사인 저자는 특히 <관리의 죽음>과 <티푸스>라는 작품을 인상 깊게 읽었다고 한다. 체호프의 모습은 오시프 브라즈의 작품 <안톤 체호프의 초상>에 남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