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부모를 위한 SNS 심리학 - 소셜 미디어는 아이들의 마음과 인간관계,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케이트 아이크혼 지음, 이종민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6년 오스트리아에서 한 소녀가 본인의 어린 시절 사진을 동의 없이 수년간 페이스북에 올렸다는 이유로 부모를 고소한 일이 있었다. 부모가 올린 500여 장의 사진 중에는 성장한 소녀가 보기에 불편한 - 벌거벗거나 변기에 앉아 있는 모습을 담은 - 사진이 몇 장 있었다. 소녀는 부모에게 지워달라고 했지만 부모는 거부했다. 그들은 당사자의 동의 없이 사진을 찍어서 올리는 행위가 당사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심각한 행위임을 이해하지 못했다. 결국 소녀는 법의 도움을 요청했다. 


<Z세대 부모를 위한 SNS 심리학>이라는 제목만 봤을 때는 요즘 아이들의 SNS 중독을 부모들이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알려주는 책일 것 같았는데, 막상 읽어보니 부모들의 SNS 중독(또는 오남용) 문제를 지적하는 책이다. 영국 <가디언>의 조사에 따르면, 엄마들의 63퍼센트가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중 97퍼센트가 자녀 사진을 올린 적이 있다. <타임>에 따르면 미국 어린이의 92퍼센트가 두 돌이 되기 전에 온라인에 노출되고, 5세가 될 때까지 온라인에 공개되는 사진이 1000장에 달한다. 


20세기에는 유년기나 청소년기에 찍은 사진 중에 불쾌하거나 창피한 것이 있으면 액자나 사진첩에서 꺼내서 없애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 시대가 열린 21세기에는 그렇게 하기가 힘들다. 자신이든 타인이든 누군가가 문제의 '굴욕 사진'을 온라인에 올리는 순간 수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될 뿐만 아니라, 내가 모르는 사람의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어 평생 저장될 수 있다. 저자는 이를 '어린 시절이 끝없이 계속된다'고 표현한다. 


저자는 '잊힐 권리'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망각은 보통 부정적인 단어로 묘사되지만,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이나 미숙한 시절의 흑역사를 망각하는 것은 축복일 수 있다. 니체를 포함한 사상가들은 망각이 치유의 힘을 가지며, 오히려 기억이 망각을 방해해 인간을 더욱 괴롭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저자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가 열리면서 망각의 축복을 받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 것이라고 염려한다. 사진을 찍어서 올릴 자식은 없지만, 매일 디지털 미디어에 접속해 기록을 남기는 사람으로서 마음이 무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