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해봐야 시체가 되겠지만 - 유쾌하고 신랄한 여자 장의사의 좋은 죽음 안내서 시체 시리즈
케이틀린 도티 지음, 임희근 옮김 / 반비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들의 장례식에 가보기도 하고 가족의 장례식을 치르기도 하면서 현재의 장례 문화에 문제가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읽게 된 책이 케이틀린 도티의 <잘해봐야 시체가 되겠지만>이다. 어릴 적 쇼핑몰에 놀러 갔다가 우연히 또래 여자아이의 추락사를 목격한 저자는 그 후 죽음이라는 주제에 천착하게 되었고, 대학에서 중세 역사를 전공하며 죽음에 관한 논문까지 썼다. 졸업 후에는 샌프란시스코의 한 화장터 업체에 취직해 장의사로 6년을 일했다.


장의사 일을 처음 시작했을 때, 저자가 상상한 장의사의 모습은 엄숙하게 장례를 집행하며 고인의 넋을 기리고 유족들을 위로하는 근사한 그것이었다. 오래지 않아 저자의 상상은 상상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매일 아침 냉동 창고에서 화장을 앞둔 시체를 찾고, 그 시체를 유족들이 '볼 만한' 상태로 '처리'하고, 유족이 보는 앞에서 시체를 화씨 1500도로 달궈진 화장로에 집어넣고, 시체가 다 타면 뼈를 추리고, 추린 뼈를 가루 상태가 되도록 으깨고... 이 모든 과정을 하루에 몇 번씩, 바쁜 때에는 몇 십 번씩 반복하는 것은 '중노동' 그 자체였다.


장의사로서 중노동을 6년 동안 하다 보니 죽음에 대한 생각도 훨씬 더 구체적으로 변했다. 저자가 보기에 현대인들은 '죽음을 부정하는 문화' 속에 살고 있다. 과거에는 집에서 사람이 죽고, 집에서 장례를 치렀다. 요즘은 병원에서 사람이 죽고, 병원이나 전문 장의 업체에서 장례를 치른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죽음에 대해 알 기회가 없어졌다. 죽음을 인간의 노화에 뒤따르는 자연스러운 섭리라고 여기지 않고, 그저 두려워하고 무서워하며 피하게 되었다. 그 결과 잘못된 장례 문화가 보편화되고, 죽은 사람도 산 사람도 만족하지 못하는 장례식이 일반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저자는 언젠가 자신만의 화장장을 여는 것이 목표다. 답답한 창고 같은 공간이 아니라 밝고 탁 트인 공간에서, 시신이 들어오면 생전의 모습에 최대한 가깝게 처리하여 유족들에게 보여주고, 시신이 화장로에 들어가는 순간을 유가족이 직접 보면서 마지막 인사를 하도록 하고 싶다. 저자 자신은 화장이 아니라 자연에 의해 시신이 없어지길 바란다. 자연에서 왔으니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에서다. 어떻게 죽을지를 생각하다 보면 어떻게 살지, 어떻게 살아야 할지가 더욱 명확하게 떠오른다.


저자는 '좋은 죽음'을 맞고 싶은 만큼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죽음'을 맞을 권리를 되찾아주고 싶다. 그래서 죽음에 관해 연구하고, 죽음에 대한 글을 쓰고, 유튜브 <장의사에게 물어보세요>를 운영하며 죽음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일반인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