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리는 나를 만들어 팝니다 - 영리한 자기 영업의 기술
박창선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자신을 가장 값지게 판매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보았습니다." 제7회 브런치북 대상 수상자인 박창선의 책 <팔리는 나를 만들어 팝니다>의 서문에 나오는 구절이다. 저자는 판매, 영업직과 콜센터, 기획자, 대행사 등을 거쳐 서른 살에 독학으로 디자인을 시작했다. 현재는 6년 차 브랜드 디자인 회사 애프터모멘트를 운영하고 있다. 고용인에서 고용주로, 월급쟁이에서 사업가로 변신한 그만의 비결과 전략은 무엇일까. 이 책에 자세한 내용이 나온다.


팔리는 사람이 되기 위해선 팔리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팔리는 능력을 가지기 위해선 타인이 간섭하기 어려운 전문적이고 고급인 기술을 가질수록, 또는 간섭을 방어할 만큼의 권위 있는 정보를 많이 가질수록 유리하다. 쉬운 예가 '생활의 달인'이다. 서류에 구멍 뚫기, 사은품 봉투 접기 자체는 누구나 쉽게 해낼 수 있는 일들이다. 하지만 서류 구멍을 매번 정확한 위치에 뚫기, 사은품 봉투를 3초 만에 접기 등은 꾸준한 반복과 숙달 없이는 해내기 어렵다. 암산이나 암기, 포토샵이나 파워포인트 제작 등도 마찬가지다. 스스로 '이것만큼은 자신 있다!'라고 생각하는 기술, 남들이 '00 하면 00씨가 최고지!'라고 인정하는 분야가 있다면 그것이 곧 팔리는 능력이다.


팔리는 능력이 '좋아하는 일'과 일치하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좋아하는 일'이라는 말의 의미부터 짚어보자. 사람들은 보통 치킨에 맥주 마시기, 해외여행 가기, 침대 위에서 뒹굴뒹굴하기, 강아지 고양이와 놀기 등등을 좋아한다고 말하는데, 냉정하게 생각해 보면 이런 것들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더 드물다. 실상 이런 일들을 남들보다 뛰어나게 잘한다고 해도 그 일을 '업(業)'으로 삼고 돈을 벌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해야 하고, 생계유지에 필요한 돈 이상의 수입을 얻기 위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이 작업이 귀찮고 버겁게 느껴진다면 남들이 깔아놓은 길 위를 걷는 게 맞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아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싶다면 여러 가지 일을 해보면서 그중에 돈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지속적인 수입원이 되게끔 만든다.


책에는 저자가 브런치에 글을 쓰며 작가로서 명성을 쌓게 된 과정도 나온다. 저자가 처음으로 브런치에 글을 쓴 건 2017년 초의 일이다. 당시 저자는 주관적인 의견이나 감정을 최대한 배제하고 객관적인 내용을 썼다. 결과는 '폭망'이었다. 그러던 어느 초여름 밤, 낮 동안 일하며 받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맥주를 마시고 컴퓨터 앞에 앉은 저자는 평소와 다르게 주관적인 의견이나 감정을 가득 담은, 술주정 비슷한 글을 썼다. 결과는 놀라웠다. 엄청난 조회 수를 기록한 것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저자는 솔직하게 글을 써도 괜찮다.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을 드러낼 때 사람들이 더욱 열광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글 쓰는 사람으로서 새겨들을 만한 조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