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진다움을 찾아서 - 버진그룹이 일하는 방식, 리처드 브랜슨이 살아가는 방식
리처드 브랜슨 지음, 장한라 옮김, 이영달 감수 / 행복한북클럽 / 2019년 12월
평점 :
품절




버진그룹의 창업자이자 회장인 리처드 브랜슨은 위험천만한 일에 직접 도전하는 탐험가로도 유명하다. 보트를 타고 대서양을 횡단하지 않나. 열기구를 타고 태평양을 건너지 않나, 광대 복장을 입고 놀이공원에서 춤을 추지 않나, 걸프전 당시 인질 구조 비행에 직접 참여하지 않나... 평범한 사람의 눈에는 대기업 회장님의 기행 또는 만행 정도로 보일지 모르지만, 리처드 브랜슨 자신은 이러한 도전과 모험이야말로 버진그룹의 창업 정신이자 기업 경영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그 이치를 담은 책이 바로 리처드 브랜슨이 직접 집필한 <버진다움을 찾아서>이다.


이 책은 총 44개의 챕터에 걸쳐 리처드 브랜슨 자신의 일생과 버진그룹을 창업하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버진그룹이 현재에 도달하기까지의 우여곡절을 담고 있다. 리처드 브랜슨은 어린 시절 간단한 문장조차 읽지 못하는 난독증 증세를 보였다. 주의가 산만하고 집중을 잘 못해서 학교에서도 가정에서도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았다. 십 대 시절에도 공부보다는 음악에 관심이 많았다. 결국 정규교육을 마치지 못하고 고교 중퇴자로 남았지만, 좋아하는 음반을 사들이고 되팔면서 장사의 기본을 익혔고, 음악팬들을 위한 잡지를 제작하고 직접 레코드를 녹음해 팔면서 비즈니스의 세계에 발을 들였다. 리처드 브랜슨 자신의 취미 또는 관심사를 사업으로 연결, 확장하는 시스템은 이때 확립되었다고 봐도 지나치지 않다.


리처드 브랜슨은 직원들에게도 자신처럼 자유분방하게 살 것을 장려한다. 어느 날 리처드 브랜슨은 직원들이 똑똑해도 너무 똑똑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정한 정장 차림에 넥타이까지 매는 것은, 다른 사람들 눈에는 격식 있고 세련되게 보일지 몰라도 '버진그룹 스타일'은 아니었다. 그래서 리처드 브랜슨은 이들의 양복과 넥타이를 모아서 태워버렸다. 옷차림이 한결 가볍고 편안해진 직원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리처드 브랜슨은 다소 과감하고 위험천만하기까지 한 아이디어도 곧잘 수용한다. 제품의 홍보에 도움이 된다면 대중 앞에서 노출을 하는 것도 불사한다. 2001년, 버진모바일 홍보를 위해 미국 뉴욕 타임스 스퀘어 앞에서 중요 부위만 버진모바일의 휴대폰으로 가리고 다른 옷은 전부 벗어버렸을 때의 일이다.


한국의 대기업 총수들이 불미스러운 사건을 일으킬 때마다 외국의 대기업 총수들과 비교하게 된다. 한국의 대기업 총수들은 그렇게 돈이 많은데도 여전히 탐욕을 부리는데, 빌 게이츠나 마크 저커버그 같은 이들은 재산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고 더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이유가 뭘까. 그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 리처드 브랜슨도 걸프전 당시 의약품을 중동에 보내고, 이라크전 당시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가했다. 최근에는 빌 게이츠로부터 좋은 영감을 많이 얻는다. 빌 게이츠야말로 자본주의와 자선의 교집합과도 같은 인물이라며 극찬한다. 넬슨 만델라를 주축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사들을 모아서 세계 평화를 도모하는 '디 엘더스'라는 모임을 기획한 것은 빌 게이츠에게서 받은 영향의 결과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인연에 관한 이야기도 나온다. 2004년 트럼프는 리처드 브랜슨에게 그를 비난하는 내용의 편지를 보낸 적이 있다. 그 후 10년 정도 아무런 연락을 주고받지 않다가, 2015년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 후보로 나서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 과거에 자신이 리처드 브랜슨을 비난한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는 듯, 리처드 브랜슨을 한껏 추켜세우는 내용의 편지였다. 리처드 브랜슨은 난민, 마약, 총기 규제, 기후변화 등의 문제에 관해 트럼프와 상반되는 입장이라서, 자신의 선거 운동을 지지해달라는 트럼프의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리처드 브랜슨과 트럼프 사이에 이런 일이 있었다니. 새롭고 신기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