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하고 싶은 말이 뭡니까? - 15초 안에 ‘Yes’를 이끌어내는 보고 테크닉 50
김범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품절




똑같은 말을 해도 알아듣기 쉽게 조리 있게 잘 하는 사람이 있고, "그래서 결론이 뭔데?"라는 말이 턱 밑까지 차오르게 만드는 사람이 있다. 둘의 차이는 무엇이고, 후자는 어떻게 전자가 될 수 있을까? 궁금하다면 <모든 관계는 말투에서 시작된다>, <회사어로 말하라> 등을 쓴 베스트셀러 작가 김범준의 책 <그래서, 하고 싶은 말이 뭡니까?>를 읽어보길 권한다.


이 책은 짧은 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보고의 기술을 50가지로 요약해 정리한다. 보고의 철칙은 결론부터 이야기하는 것이다. 재미있는 이야기, 무서운 이야기가 아닌 한 대부분의 이야기는 결론을 모른 채 들으면 답답하고 지루하다. 차라리 처음부터 결론을 이야기하고 결론을 도출한 과정을 그다음에 이야기하면 지루함도 덜뿐더러 설득도 잘 된다. 보고를 잘하고 싶다는 의욕이 높은 건 좋지만 의욕이 넘쳐서 쓸데없는 말까지 주절주절 늘어놓는 것은 금물이다. 이야깃거리가 백 개 있어도 상대가 들을 만한 것 3-5가지 정도로 추리는 것이 센스 있다.


반대로 보고의 금칙은 무엇일까. 저자는 '사실은', '솔직히 말해서' 같은 말은 절대 사용하지 말라고 충고한다. 이런 말은 다음에 이어지는 말이 좋은 말이 아닌 경우가 많을뿐더러, 그전에 했던 다른 말들에 대한 신뢰도까지 떨어뜨린다. "제가 원래 숫자에 약해서요" 같은 자기 비하도 좋지 않다. 질문을 받았는데 대답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죄송합니다. 제가 미처 조사를 못했습니다." 정도로 말하면 된다. 보고는 주로 하급자가 상급자에게 하는 것이므로 항상 겸손한 자세, 배우는 자세를 갖추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보고를 할 때는 보고 후 즉시 시행할 아이디어와 일의 순서도 마련해놓는 것이 좋다.


보고가 잘 끝나면 대체로 상대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그래서 이다음엔 어떻게 할 건데?" 이때 적확한 대답을 하지 못하면 열심히 공들여 한 보고가 말짱 도루묵이 된다. 조직 및 회사의 비전을 보고에 녹여 넣는 것도 중요하다. 보고의 목표는 결국 설득이다. 보고에 담긴 내용대로 하면 조직에 좋고 회사의 장기적인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 설득이 되지 않을 사람은 많지 않다. 이 밖에도 도움이 될 만한 조언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