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트 콜렉터
캠론 라이트 지음, 이정민 옮김 / 카멜레온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인 캄보디아.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 외곽에 있는 한 쓰레기 매립장에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소설 <렌트 콜렉터>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상 리. 어려서 부모를 잃고 할아버지 손에 자랐으며 현재는 '스퉁 민체이'라는 쓰레기 매립장에서 살고 일하며 남편 기 림과 아들 니사이를 키우고 있다. 상 리의 가장 큰 걱정은 태어난 지 16개월 된 아들 니사이가 먹은 것을 소화하지 못하고 그대로 설사해 발육 상태가 엉망이라는 것이다. 상 리는 공기 나쁘고 물 안 좋은 쓰레기 매립장에서 살아서 니사이가 아픈 것이라고 생각하고 남편에게 어떻게든 이사할 방법을 찾자고 하지만, 기 림의 능력으로는 쓰레기 매립장 밖에서 돈을 벌 수도 없고 집을 구할 수도 없다.


그런 상 리에게 어느 날 기적 같은 일이 벌어진다. 매월 첫째 날 상 리의 집에는 소피프라는 여자가 집세를 걷으러 온다. 집세를 내지 않으면 호통을 치고 욕을 하는 소피프를 스퉁 민체이 사람들은 '암소'라고 부르며 비난한다. 그날도 언제나처럼 집세가 밀려 소피프에게 욕이란 욕은 다 듣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소피프의 시선이 한곳에 멈췄다. 기 림이 쓰레기장에서 주워 왔지만 부부 중 누구도 글을 읽지 못해 던져두었던 책이다. 소피프는 저 책을 주면 월세를 안 내도 된다고 말했다. 대체 저 책이 뭐기에 그동안 악독하기 그지 없었던 소피프가 월세를 면제해준 걸까.


상 리는 호기심 반 두려움 반으로 소피프에게 이렇게 묻는다. "제게 글 읽는 법을 가르쳐줄 수 있나요?" 사실 상 리는 글 읽는 법을 배우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다. 생활에는 불편함이 없었지만 니사이에게 글 읽는 법도 모르는 엄마로 기억되고 싶지는 않았다. 상 리 자신이 글 읽는 법을 알아야 니사이에게 책도 읽어주고 공부도 시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상 리의 말이 꽁꽁 얼어 있던 소피프의 마음을 녹인 걸까. 결국 소피프는 상 리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얼마 후 두 사람은 세입자와 집세 수금원이 아닌 학생과 선생으로 만나기 시작한다.


알고 보니 소피프는 프놈펜 대학에서 문학을 가르치는 교수였다. 상 리는 소피프의 지도 아래 글 읽는 법을 배우게 되고 나중에는 책을 읽고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즐거움에 푹 빠지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한때 국립 대학교수였던 소피프가 왜 쓰레기 매립장의 집세 수금원이 되었는지도 알게 된다. 소피프를 변하게 한 그 책의 비밀이 무엇인지도. 이토록 영화 같은 이야기가 실화라는 사실이 놀랍다. 이 감동적인 이야기를 부디 많은 사람들이 읽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